대우자동차가 자구계획을 발표한지 불과 열흘도 안돼 부도로 내몰린 배경에 대해 의문이 일고 있다.

대우의 핵심 관계자들도 "도대체 왜 채권단이 이렇게 서두르고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할 정도로 상황은 급하게 돌아간 것이다.

지난달 31일 이종대 회장이 노조와 협의를 거쳐 자구계획을 이행하겠다고 발표했을 때만 해도 대우는 비교적 여유있게 노사 협상에 착수했다.

그러나 3일 부실기업 퇴출발표 이후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기 시작했다.

4일 엄낙용 산업은행 총재는 노조의 동의가 없으면 1차부도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진념 재경부 장관은 GM과의 협상이 성사되기 위해서는 대우자동차의 노사 자구안이 관건이라는 경고를 발동했다.

그리고 6일 1차부도가 났고 8일에는 최종부도 처리됐다.

업계는 정부 및 채권단이 ''이번 기회에 구조조정을 하지 않으면 대우자동차의 미래는 없다''고 판단한 것이 대우차 부도를 앞당긴 배경일 것으로 일단 해석하고 있다.

특히 정부와 채권단은 지난 8월 대우차 노사가 맺은 단체협약에 ''5년간 고용보장''이 명시된 것을 매각작업을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걸림돌로 인식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이 고용보장 협약은 포드가 대우자동차 인수를 포기하게 된 중요한 원인중 하나였고 GM도 고용조정을 가능케 할 수 있도록 이를 폐기해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회사가 구조조정안을 만들면서 노조의 반발이 뻔한 상황에서 3천5백명에 달하는 인원 삭감을 명시한 것도 정부의 구조조정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는게 업계의 일반적 관측이다.

결국 정부와 채권단은 조속한 구조조정을 위해 기업 퇴출 분위기를 타고 ''부도''라는 막다른 해법을 택한 것이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