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북한방문을 지나치게 충격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적절치 않다.

북·미관계 정상화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여러차례 밝힌 바 있는 우리 정부의 공식입장이다.

또 미국과 중국을 포함한 4자회담을 통해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은 김대중 대통령의 오랜 지론이고,그렇게 되려면 북·미관계 정상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북·미관계 개선이 남북관계 발전을 가속화하고 심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기대를 갖는다.

그러나 장밋빛 환상은 아직 이르다는 점 또한 거듭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어떤 상황변화이든 그 결과는 대처능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국민 전체의 슬기를 결집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생각하며, 변화에 대응할 준비를 해나가야 한다고 본다.

자유민주주의,곧 자본주의체제에 대한 확신은 더이상 강조할 필요도 없는 명제다.

북한을 대화와 개방으로 이끌어 낸 것이 우리 경제력이고,앞으로의 남북관계 또한 우리 경제에 달려 있다는 것 역시 너무도 분명하다.

경제에 대한 국민들의 자신감이 무엇보다 절실한 상황이라는 얘기가 될 수 있다.

남북대화도 달라져야 한다.

북한 인권상황 국군포로 등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문제들도 당연히 제기돼야 한다.

비전향 장기수 복송,식량원조 등 우리측의 성의에 비해 과연 북한이 상응할 정도로 변하고 있는지 의구심을 갖는 국민이 더 늘어나서는 곤란하다.

이산가족문제 등 남북현안에 북측은 좀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마땅하고, 정부도 그런 우리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한다.

물론 그럴리 없다고 보지만,북한이 북·미관계 개선을 그들의 오랜 목표인 이른바 통미봉남(通美封南) 정책의 연장선에서 착각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남북문제에 대한 한·미 공조는 그런 점에서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