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폐·파업사태 해결을 위한 의료계와 정부간 대화가 오늘부터 이뤄질 모양이다.

뒤늦은 감이 없지 않고,그렇다고 원만한 해결을 낙관할 수도 없는 것이 지금의 상황이지만 어쨌든 양측이 대화에 나서겠다는 합의를 일궈낸 것만도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 아닐수 없다.

이번 대화는 정부가 의약분업 시행에 대한 준비부족을 공식 사과하는 한편 의료계가 대화의 전제조건을 일부 완화하는 등 서로가 선뜻 내리기 어려운 결심으로 한발짝씩 양보함으로써 돌파구를 찾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무슨 수를 내더라도 기필코 타협점을 찾지 않으면 안될 마지막 기회라 이해해도 무리가 아니다.

만약 이번 대화에서 타협에 실패하면 명분마저 상실해 그야말로 대안없이 의료체계가 대혼란에 빠져드는 절망적인 사태로 치달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와 의료계는 우선 자신들의 입장과 명분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의료소비자인 국민들의 입장에서 모든 문제를 풀어 나가려는 긍정적인 자세로 대화에 임해야 한다.

의약분업에 따른 준비부족이나 제도상의 허점에 대해서는 정부가 될수록 빠른 시일내에 시정 보완해야 한다는 점을 새삼스럽게 강조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의료계 또한 국민을 위한 새로운 의료체계의 구축을 위해 무엇을,어떻게 하는 것이 합당한가에 대해 좀더 심사숙고해 주기 바란다.

의약분업의 다른 한 축이면서 의료계와 이해가 상충되는 약계가 의·정간 대화추이를 뚫어지게 지켜 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계의 핵심 요구사항 가운데 하나인 보험재정의 확충 역시 국민부담 증가와 재정사정 등을 고려해 볼 때 일거에 해결하기는 쉽지않은 과제라는 점 등은 특히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약계가 약사법 개정의 불가를 주장하고 있는가 하면 의료보험료 인상에 대한 시민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잘못되면 또 다른 혼란을 부추길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얘기다.

정부와 의료계는 우리가 처한 그같은 어려운 현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효과적인 대책을 강구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앞서 지적한 대로 의료소비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모든 것을 판단해야만 해결책이 나올수 있다.

한가지 덧붙이자면 의료계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어가기로 작정한 이상 당장 정상적인 진료체제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면서 새로운 의료보건체계의 구축에 앞장 선다면 그동안 실추된 의료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충분히 만회할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