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으로 먹는 무좀약이 대부분 전문치료제로 편입됨에 따라 무좀약시장 판도가 급변하고 있다.

지난 한해 8백50억원대에 달한 이 시장은 올해 약국시장의 위축과 함께 정체상태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얀센의 스포라녹스는 지난해 4백억원어치의 매출을 기록하면서 경구용 항진균제시장에서만 약 60%의 시장을 점유했다.

스포라녹스는 치료기간이 짧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가장 경제적인 약으로 인기를 끌었었다.

예컨대 손발 무좀은 1주,난치성 손톱 무좀 2주,발톱 무좀은 3주동안 투약하는 방법으로 치료효과와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한국얀센은 강조했다.

얀센의 이같은 높은 시장점유율은 제품의 우수성보다는 독특한 판촉전략에 힘입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 회사는 의사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학술대회를 벌이는 한편 약국을 통해 "아킬레스 무좀퇴치 프로젝트"를 전개,무좀은 "치료할 수 있는 질환"임을 강조하는 캠페인활동에 나서고 있다.

또 인터넷(www.footcare.co.kr)을 통한 사이버 마케팅에도 적극적이다.

대웅제약의 푸루나졸은 발매 2년만에 국내 2위 제품으로 급성장했다.

한국화이자의 오리지널제품인 디푸루칸과 같은 성분인 이 약은 지난해 1백억원의 매출을 거두면서 42억원에 그친 디푸루칸을 앞질렀다.

대웅의 푸루나졸은 1주일에 한번만 복용하면 되고 심한 발톱무좀의 경우에도 6개월간 복용하면 완치될 수 있음을 홍보하고 있다.

대웅 관계자는 화이자가 약 복용의 간편함을 적극적으로 알리지 못해 마케팅에 실패한 것으로 풀이했다.

반면 일양약품이 판매대행을 맡고 있는 디푸루칸은 정제의 경우 연20억원 매출에 그치고 있다.

다만 전신이 진균에 감염됐을 때 쓰는 주사제 매출이 22억원으로 독점적인 지위를 갖고 있다.

한국노바티스의 라미실은 태평양제약에서 판매대행하고 있다.

의사들은 라미실이 먹는 약의 가장 큰 문제점인 간독성이 가장 적고 약효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다만 미흡한 마케팅으로 3위 제품으로 밀려버렸다.

무엇보다 먹는 라미실의 경우 가격이 비싼게 단점이다.

바르는 크림제품은 후발모방품이 20여 품목을 넘어서 경쟁력을 상실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먹는 약은 43억원,크림은 1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의약분업으로 먹는 무좀약이 전문약으로 편입됨에 따라 약사들의 권유로 판매됐던 3백억원의 약국시장은 급격히 위축될 전망이다.

대신 의사들의 처방에 따라 판매량이 결정될 예상이어서 한국얀센 대웅제약 한국노바티스 한국화이자 등은 의사대상 마케팅 전략짜기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