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복사기 대중화 .. 149만원짜리 보급형..한국후지제록스 판매
국내에서도 디지털 복사기의 대중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한국후지제록스는 11일 레이저 프린터가 결합된 1백49만원짜리 보급형 디지털복사기인 "디카프"를 본격 시판한다고 발표했다.
국내 디지털 복사기의 경우 단순복사만 하는 기능제품이 최저 3백만원에 이르는 등 값이 너무 비싸 보급율이 4%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일본 85%,아시아지역 30%등에 비해 낮아 사무환경의 후진국이라는 얘기마저 듣고 있는 형편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특히 아날로그 복사기도 1백만~2백만원대에 이르고 있다고 제록스는 밝혔다.
이 회사는 "디까프는 저가격이지만 1분에 복사 10매,프린팅 8매의 속도를 갖고 있으며 일반 레이저 프린터 정도의 컴팩트한 크기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해상도는 인치당 6백X6백 도트로 원본보다 나은 화질로 복사를 할 수있고 용지 급지량 2백매,임의복사배율 50~2백%,원고자동이송 장치등 최고급 기능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록스는 이 제품을 컴퓨터와 연결해 작업을 원하는 중소기업,대기업의 단위부서,지사 사무실,변호사나 회계사 세무사 중계사등 전문직종 오피스등에 집중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정광은 대표는 "제품출시를 계기로 마케팅을 강화해 국내 사무기기의 디지털화를 더욱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위해 프린터판매점 양판점 등 판매채널을 추가로 활용하고 사내 특수영업팀을 구성,활용키로 했다.
이 회사는 이를 통해 금년말까지 5개월간 1만대를 판매하고 내년중 3만대를 팔아 전체 복사기시장 점유율 1위에 올라선다는 계획이다.
< 윤진식 기자 jsyoon@hankyung.com >
한국후지제록스는 11일 레이저 프린터가 결합된 1백49만원짜리 보급형 디지털복사기인 "디카프"를 본격 시판한다고 발표했다.
국내 디지털 복사기의 경우 단순복사만 하는 기능제품이 최저 3백만원에 이르는 등 값이 너무 비싸 보급율이 4%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일본 85%,아시아지역 30%등에 비해 낮아 사무환경의 후진국이라는 얘기마저 듣고 있는 형편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특히 아날로그 복사기도 1백만~2백만원대에 이르고 있다고 제록스는 밝혔다.
이 회사는 "디까프는 저가격이지만 1분에 복사 10매,프린팅 8매의 속도를 갖고 있으며 일반 레이저 프린터 정도의 컴팩트한 크기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해상도는 인치당 6백X6백 도트로 원본보다 나은 화질로 복사를 할 수있고 용지 급지량 2백매,임의복사배율 50~2백%,원고자동이송 장치등 최고급 기능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제록스는 이 제품을 컴퓨터와 연결해 작업을 원하는 중소기업,대기업의 단위부서,지사 사무실,변호사나 회계사 세무사 중계사등 전문직종 오피스등에 집중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정광은 대표는 "제품출시를 계기로 마케팅을 강화해 국내 사무기기의 디지털화를 더욱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위해 프린터판매점 양판점 등 판매채널을 추가로 활용하고 사내 특수영업팀을 구성,활용키로 했다.
이 회사는 이를 통해 금년말까지 5개월간 1만대를 판매하고 내년중 3만대를 팔아 전체 복사기시장 점유율 1위에 올라선다는 계획이다.
< 윤진식 기자 jsyoon@hankyung.com >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