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발표한 용산지구 개발계획은 서울과 같은 거대도시일수록 한정된 도시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도시계획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없지 않다.

하지만 서울시는 이같은 개발계획이 결과적으로 과밀개발을 부추겨 그렇지 않아도 심각한 교통난과 열악한 주거환경을 더욱 악화시키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할 것이다.

계획에 따르면 서울역에서 삼각지와 용산역을 거쳐 한강에 이르는 1백만여평의 용산지역은 부도심에 걸맞는 모습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그중에서도 경부고속철 중앙역사 역할을 하게 되는 용산역 주변의 21만여평에 국제적인 첨단업무단지를 조성하고,서울을 상징하는 100층 안팎의 국내 최고층빌딩을 세운다는 것이 핵심내용이다.

이밖에 용산미군기지 부지에 용산민족공원을 조성하고 용산가족공원과 국립중앙박물관을 따라 한강으로 이어지는 대규모 녹지축을 조성한다는 계획도 매우 의욕적이다.

하지만 막상 개발계획이 시행되면 과밀개발과 상당한 교통혼잡이 불가피하다는 점이 문제다.

민자유치를 통해 서울역과 용산역을 현대식으로 확장할 경우 대규모 상업.업무시설 유치가 불가피할 것이며 이로 인한 유동인구 증가와 교통혼잡도 당연히 예상된다.

더구나 서울역에서 한강까지를 잇는 주간선도로가 하나뿐이어서 교통난 악화가 불을 보듯 뻔한데 이렇다할 대책도 없이 국내 최고층빌딩까지 짓겠다는 것은 무리한 계획이다.

계획대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개발대상지역의 상당부분을 공공용지로 하는 대신 그 댓가로 용적률을 높여주는 "인센티브 용적률''을 적용할 경우 고층건물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서 남산조망권을 저해하는 등 주거환경을 해치기 쉽다는 점도 걱정거리다.

녹지공간을 확보하기위해 개발대상지역의 상당부분을 공공용지로 하는 대신 그 대가로 용적률을 높여준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서울시가 최근 과밀개발 방지를 명분으로 주거지역의 용적률을 낮추기로 한 행정방침의 일관성이 크게 흔들릴 수밖에 없게 되기 때문에 "인센티브 용적률'' 적용방침은 재고해야 한다고 본다.

또다른 문제는 이번 개발계획을 시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추진일정이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국제적 첨단업무단지나 용산민족공원을 조성하자면 철도정비창과 용산미군기지 이전이 전제돼야 하고 이런 일은 철도청이나 국방부 그리고 미군측과 협의를 거쳐야 하는데 과거의 경험으로 미루어 보면 앞으로도 상당한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서울시는 최종계획이 확정되기 전에 예상되는 과밀개발을 막기 위한 방지대책을 다각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