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와 우려가 교차된 한주였다.

55년만에 이뤄진 남북 정상회담은 한반도 화해무드를 조성해 국가 신인도를 높이고 남북경협을 활성화시킬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정상회담의 흥분이 가시기도 전에 곪아가던 자금시장 문제가 터져 나왔다.

기업들의 장단기 자금조달 창구인 회사채와 기업어음(CP)시장의 마비상태가 한달째 이어졌기 때문이다.

"일부 대기업 그룹 계열사가 자금압박에 시달린다"거나 "모 종금사가 위기에 직면했다"등 시장에 흉흉한 소문이 나돌면서 증시가 연일 곤두박질쳤다.

투신사와 은행 신탁계정에선 수신고 감소세가 지속됐다.

투신사 공사채형 수익증권에선 이달들어서도 12일까지 2조원이 넘는 돈이 빠져나갔다.

은행신탁에서도 같은 기간중 1조9천억원이 이탈했다.

투신사 공사채형 수익증권과 은행 신탁계정에서 이탈한 자금은 예금보호가 되는 은행권 저축상품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달들어 12일까지 은행의 실세총예금은 5조원 이상 늘어났다.

그러나 시중자금이 도매금융보다는 소매금융에 치중하는 우량 은행으로 몰리는데다 제2차 금융구조조정을 앞두고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 비율 올리기에 급급한 은행들이 신용도가 낮은 기업에 대한 대출을 극도로 꺼려 자금난을 부채질했다.

급기야 정부의 자금시장 대책이 나왔다.

정부는 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10조원 규모의 채권투자펀드를 조성키로 했다.

또 은행에 단기신탁상품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대우와 관련된 금융분쟁을 이달말까지 모두 해결키로 했다.

정부는 이달말까지 대우 담보CP,대우무보증채,대우관련 연계콜 등 투신사와 종금사 등이 안고 있는 대우처리 문제를 6월말까지 모두 정리해 대우관련 불확실성을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헌재 재정경제부 장관은 일부 중견그룹의 자금악화설과 관련,"채권금융기관을 통해 점검해본 결과 회생가능성에 문제가 있는 기업은 없었다"고 일축했다.

이러한 정부대책에도 금융 및 기업구조조정이 예상보다 더디거나 제대로 추진되지 못할 경우 금융시장의 불안은 완전히 가시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정부가 내놓은 자금시장 대책에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가 이번주 금융시장의 최대 관심사다.

< 유병연 기자 yooby@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