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개방론자인 한덕수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최근 "마늘"문제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중국산 수입마늘에 3백15%의 긴급수입제한조치(세이프가드)를 물린데 대해 중국이 핸드폰과 폴리에틸렌 금수 조치로 맞서자 국내 여론이 "부적절한 대응으로 화를 자초했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어서다.

마늘 9백만달러어치를 받지 않기위해 5억달러에 달하는 중국의 핸드폰.폴리에틸렌 시장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일부에서는 총선 전"농민표"를 의식한 정치권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정부 안에서도 마늘에 대한 긴급수한제한조치의 부작용을 우려,강경조치를 취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보복조치가 떨어지자정부의 한 관계자는 "나무에만 신경을 쓰다가 숲을 보지 못할 것이라며 반대했던 의견을 무시하다 자초한 화"라고 지적할 정도였다.

이에대해 한 본부장의 태도는 분명하다.

"이번 조치는 국내 마늘 농가의 피해를 감안해 국제법 절차에 따라 내려진 적합한 조치"라는 것.

"오히려 국제법을 무시한 중국측이 금수조치를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 본부장은 중국의 조치가 나온후 즉시 우다웨이 주한 중국대사를 불러 이같은 정부입장을 전했다.

그러나 미숙한 통상전략이 부른 낭패라는 비판이 수그러들지 않자 대책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 본부장은 서울상대를 졸업한 후 행시(8회)를 통해 경제기획원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했으며 82년 상공부로 자리를 옮긴 후 통상관련 주요 요직을 두루 거쳤다.

97년엔 잠깐 특허청장을 지냈다.

국내산업에 대한 이해력과 협상력,해박한 국제지식등 통상관료에게 요구되는 3박자를 고루 갖춘 한 본부장이 마늘전쟁을 어떻게 승리로 이끌어 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