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된 보복이었습니다. 중국이 어떤 나라인데 3백15%의 관세를 얻어맞고도 가만히 있겠습니까. 어쭙잖은 잽 하나 날리고는 카운터 펀치를 얻어맞은 꼴입니다"

중국이 마늘 관세부과에 대한 보복조치로 한국에 대해 핸드폰단말기 및 폴리에틸렌의 수입금지조치를 내린 7일 밤.

베이징의 한 상사원은 중국보다는 오히려 한국정부에 불만을 쏟아냈다.

그는 "정부의 대중국 경제협상이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우리나라가 중국산 마늘수입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키로 결정한 직후였던 지난달 27일.

주중 한국대사관 경제분야 직원과의 대화.

"이번 관세부과로 중국이 가만히 안있을 겁니다"(기자)

"저도 답답합니다. 경제논리가 배제된채 정치논리와 부처이기주의로 정책이 결정되는 걸 전들 어떻게 합니까. 소탐대실이 우려됩니다"(대사관 직원)

그 우려가 현실로 드러났다.

중국이 던진 카드는 우리것보다 수십배나 강했다.

왜 그랬을까.

중국의 국가경제무역위(경무위) 한국담당 관리와의 전화 통화.

"중국의 보복수위가 예상보다 높았다"(기자)

"경제적인 이유를 넘어선 것일 수 있다. 3백15%의 관세가 중국의 자존심을 건드렸다. 한국이 매년 급증하고 있는 대중 무역흑자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지 못한 데 원인이 있다"(경무위 관리)

물론 중국에도 문제가 있다.

중국은 마늘대신 참깨등 다른 곡물의 수입을 늘리겠다는 우리측 협상팀의 제의를 일언지하에 거부하는 등 판을 깨겠다는 식이었다.

협상팀 중 한 명은 "한국의 중국농산품 수입 규제정책에 대한 "화풀이" 성격이 강하다" "상대가 미국이나 일본이었더라도 과연 이렇게 할수 있었겠느냐"며 울분을 토했다.

중국의 오만은 짚고 넘어가야 한다.

그러나 협상에 감정이 개입되면 곤란하다.

이번 사태가 자칫 다른 품목으로 걷잡을 수 없이 비화되면 거대한 수출시장은 더 멀어질 뿐이다.

대중 교역은 시급히 정상화해야 한다.

농민의 피해에 대해선 다른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중국농산물의 비교우위를 마냥 외면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마늘 한접을 수입하는 대신 폴리에틸렌 1t을 수출하면 누가 이익을 보게 될지는 삼척동자도 안다.

더 이상 중국과의 경제관계에서 나무를 보되 숲을 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 된다.

베이징=한우덕 특파원 woodyhan@ 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