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장관들이 지난 18일 청와대에서 긴급 간담회를 갖고 금융시장 불안에 적극 대응하기로 한 것은 뒤늦게나마 현실을 제대로 인식했다는 점에서 다행스러운 일이다.

대우사태 이후 불안한 양상을 보이던 금융시장은 올들어 주가가 폭락하고 채권시장이 마비되는 등 극심한 불안상태를 지속해 왔다.

하지만 총선,남북정상회담,경제팀의 장래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겹쳐 적극적인 대처를 미뤄왔던 측면이 없지 않았다.

그 결과 급기야는 제2위기설로 번져 대통령,여당까지 나서 경제팀의 안이한 대처를 질책하는 사태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사실 우리 경제는 무역수지 흑자폭이 급격히 축소되고,국제 유가 및 금리가 상승하는 등의 몇가지 염려스러운 점이 없지는 않으나 지난 1.4분기에도 12%대의 성장을 기록할 만큼 실물 면에서는 호조를 지속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의 경제위기설이 대두된 것은 투신문제 해결 장기화,금융구조조정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초래된 금융불안 때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가가 폭락해 증자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채권시장마저 마비돼 직접금융이 곤란한 것은 물론이고 통폐합설에 휘말린 은행들마저 대출에 인색할 수밖에 없어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될 경우 기업 연쇄도산과 이에 따른 금융 재부실화 우려가 위기설의 근거였던 것이다.

정부가 투신에 대해 공적자금을 앞당겨 투입하고,워크아웃 추진상황을 공개한데 이어 금융불안 해소를 위한 개입의지를 밝힌 것은 심리적 안정회복에 어느정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나 근본적인 시장안정대책이라 보기는 힘들다.

정부가 보다 구체적인 시장안정대책을 제시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금융구조조정 청사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실행여건을 조성해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