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환경이 e비즈니스쪽으로 급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전략경영학회는 한국경제신문 후원으로 지난 22일 "e전략(Strategy)"을 찾기 위한 2000년 춘계세미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벤처기업 경영모델에 대한 이론적 검증작업이 이뤄졌다.

최근 벤처붐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던 김동재 코리아인터넷홀딩스 대표(전 연세대 교수),이장우 경북대 교수,권구혁 연세대 교수 등 쟁쟁한 이론가들이 주제발표자로 참여했다.

이들은 각각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서 에코넷(Econet) <>미래 기업조직으로서 초생명기업 <>인터넷환경과 전략이론을 발표했다.

주제발표에 이은 토론에서 박철순 서울대 교수,김언수 고려대 교수,김희천 한양대 교수 등은 이같은 벤처기업전략이 정통 전략이론으로 자리잡기까지의 문제점 등을 지적했다.

이날 발표 내용 가운데 이장우 교수의 "경영패러다임의 전환과 미래조직:초생명기업"을 요약소개한다.

< 안상욱 기자 sangwook@ked.co.kr >

---------------------------------------------------------------

< 이장우 경북대 경영학부 교수 >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21세기 기업환경에선 효율성(Efficiency)보다는 적응성(Adaptability)이 기업경영의 핵심조건이다.

적응성과 유연성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기업을 미래 기업조직의 모델로 삼아야 한다.

<>경영 패러다임의 대전환=최근 불어닥친 인터넷과 정보통신 혁명은 정보의 양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는 기업환경을 변화시켜 소위 단순계에서 복잡계로의 패러다임 시프트를 유발했다.

복잡계는 동태적이고 불확실성이 높아 예측불가능성이 높은 특징을 갖는다.

복잡성의 증가로 21세기의 기업들은 심화되는 국제경쟁과 지식기반경제라는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새로운 사업모델을 추구해야만 한다.

복잡계에선 변화에 대한 적응력과 혼란한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기업활동이 요구된다.

이를 위한 대안이 "생명기업"이다.

기업성공의 핵심요인도 바뀌고 있다.

규모의 경제,자금 동원력,시장보호 등의 전통적 요인보다는 기업가정신과 유연성이 핵심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계획과 효율성을 중시하던 데서 유연성과 적응성을 강조하게 된 것이다.

생명기업은 바로 유연성과 적응성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벤처기업은 곧 생명기업이다.

성공하는 벤처기업이 되기 위해선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내부구성원간 강한 일체감을 보이며 외부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줄 아는 개방적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

<>생명기업 만들기=생명기업은 세상에 대해 민감하고 관용적인 경영을 수행하며 기업과 일체감을 지닌 사람들이 일하는 재무적으로 보수적인 기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생명기업을 만드는 데 필요한 첫번째 요소는 "도전정신"이다.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선 도전이 필요하다.

도전정신은 기업가정신의 시작이기도 하다.

두번째는 "목표관리"다.

회사 구성원에게 목표와 가치를 제시하고 개개인을 기업가처럼 행동하게 유도하는 일이다.

업적과 인간의 조화를 통해 조직에 생명력을 불어넣어야 한다는 얘기다.

세번째는 "태극조직"과 "학습조직"이다.

태극조직은 소비자가치와 생산자가치라는 상호배타적인 가치관을 조화시켜 창의적 경영대안을 만들어 준다.

학습조직은 자율과 실패를 통한 학습과정에서 환경에 맞는 자기 변화의 기회를 얻게 한다.

이같은 단계를 거쳐 가치 정보 이익 등의 자원을 공유하는 개방적 공동체인 생명기업이 탄생된다.

<>초생명기업의 구축=생명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해야 한다.

하지만 전체의 성장을 위해선 부분의 소멸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조직 규모가 커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면 기업가정신이 쇠퇴하는 원인이 되고 결국 생명기업의 생명력이 상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기존의 핵심역량이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핵심역량의 변화 개발 확장 등을 통해 생명력을 유지시켜야 한다.

생명기업의 연방체제인 초생명기업을 구축해야 한다.

하나하나의 생명기업이 모여서 전체가 하나의 생명체처럼 움직이면서 하나 하나가 전체를 대표하는 기업군을 만들어야 한다.

부분의 불확실성이 전체의 확실성을 뒷받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정리=장경영 기자 longrun@ke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