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명의 세무사들이 함께 일하는 세무법인이나 합동사무소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세무법인은 최근 잇달아 문을 열면서 대형화를 주도해 나가고 있다.

한국세무사회는 올들어 지난 3월말까지 신설된 세무법인은 모두 6곳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들 세무법인에는 3~4명의 세무사들이 시너지 효과를 겨냥,함께 일하고 있다.

지난 1월 출범한 세종세무법인에 소속된 세무사는 5명에 이른다.

세무법인의 잇따른 등장은 IMF체제 이후 경제 사회 등 전부문에서 복잡 전문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점과 무관치 않다.

고객들이 법 개정에 따른 세무 서비스를 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무 회계 등 종합적인 자문을 요구하는 경향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고객들의 니즈 변화로 세무법인이 앞으로 계속 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점차 거세지는 대형화 추세 =지난해에만 모두 10곳의 세무법인이 문을 열었다.

전체 36개 세무법인(2개의 합동사무소 포함) 중 절반에 가까운 16곳(44%)이 신설된 지 1년 안팎이라는 얘기다.

지난 1998년에는 7개의 세무법인과 1개 합동사무소가 업무를 시작했다.

현재 활동중인 전체 세무법인의 3분의 2가 최근 2년안에 설립된 셈.

법인 형태를 통한 대형화 바람이 세무사 사회에 거세게 불고 있는 것이다.

이는 경제 사회여건이 복잡해지고 전문화돼 가고 있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뜨겁게 번지는 벤처 창업의 열기도 한몫을 하고 있다.

특히 기술 개발에만 몰두하는 벤처기업들은 세무에서부터 회계에 이르는 기업경영에 필수적인 자문을 요구하는 게 보통이다.

게다가 정부가 "생산적 복지"를 강조한 지난해 이후 세법이 적지 않게 바뀌었다.

관련 규정들까지 포함하면 세법체계는 계속 변할 수밖에 없다.

납세자는 물론 세무사들도 혼자서는 이같은 변화에 뒤떨어지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기가 쉽지 않게 됐다.

향후 세무회계시장의 대외 개방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장의 문이 열려 경쟁양상은 더욱 뜨거워진다.

세무사들도 이에 대응,"종합서비스"를 제공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 세무법인의 이점 =세무사들에게도 "집단화"는 피하기 어려운 대세다.

법인에 참여하면 같은 사무실에서 서로 부족한 전문지식을 보완할 수도 있고 업무도 체계적으로 분담할 수 있다.

일반 고정경비뿐만 아니라 업무추진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지난해 이후 급변해온 정부의 조세정책은 앞으로도 상당기간 변화의 물결을 탈 것으로 보인다.

세무사들도 먼저 자기 전문분야를 확보하면서 부족한 부분은 파트너에게 맡기는 한편 자기 분야를 연구할 시간을 가져야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세무사회 관계자는 "대기업 등 덩치가 큰 세무업무를 맡기 위해선 신속.정확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각자 파트별로 분담하는 전문집단화가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 향후 전망 =업계 스스로의 필요성 때문에 법인을 통한 대형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제도적인 유인책이나 육성책은 없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세무사회 한 관계자는 ""세무조정대상에서 외형이 일정규모 이상인 곳만 세무법인이 맡는다"는 등 유인 지원책이 없는 한 형식만 법인 모양을 갖출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고정비를 절감하고 대외적인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법인을 설립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세무사별로 독립채산제를 하는 등 기형적으로 운영하는 곳도 있다"며 "이 경우 내부 갈등이 생기면 장기적으로는 법인이 깨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세무사들이 기장대리 등 단순 업무보다는 법인 대상의 자문업무와 같은 복합적인 세무회계서비스를 제공해야 하지만 아직까지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더구나 세무법인에 대한 대다수 납세자들의 인식 부족도 법인화를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무법인화와 기존 법인의 대형화 추세는 가속화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 허원순 기자 huhws@ke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