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64메가 D램 6달러대로 반등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인 64메가 D램 국제 현물 가격이 개당 6달러 대로 다시 반등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8메가X8 PC100" 64메가 싱크로너스 D램 개당 가격은 6.12~6.49달러로 전장보다 개당 0.72 달러 가량 급등했다.
64메가 D램 국제 현물 가격은 3월초 개당 6달러대에 진입했다가 이후 4~5달러대에 머물면서 보합세를 보여 왔다.
1백28메가 D램의 경우 이날 개당 11.37~ 12.05달러로 전장보다 0.15달러 가량 올랐다.
이처럼 64메가 D램 반도체 현물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메이저 D램메이커들이 1백28메가 제품의 생산을 늘리는데다 미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2월 출시한 윈도우 2000에 들어가는 D램 소요량이 2배 가량으로 급증한데 따른 것이다.
최석포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D램 현물가격의 움직임은 본격적인 상승세로 접어드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익원 기자 iklee@ked.co.kr
28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8메가X8 PC100" 64메가 싱크로너스 D램 개당 가격은 6.12~6.49달러로 전장보다 개당 0.72 달러 가량 급등했다.
64메가 D램 국제 현물 가격은 3월초 개당 6달러대에 진입했다가 이후 4~5달러대에 머물면서 보합세를 보여 왔다.
1백28메가 D램의 경우 이날 개당 11.37~ 12.05달러로 전장보다 0.15달러 가량 올랐다.
이처럼 64메가 D램 반도체 현물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는 것은 메이저 D램메이커들이 1백28메가 제품의 생산을 늘리는데다 미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2월 출시한 윈도우 2000에 들어가는 D램 소요량이 2배 가량으로 급증한데 따른 것이다.
최석포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D램 현물가격의 움직임은 본격적인 상승세로 접어드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익원 기자 iklee@ked.co.kr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