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로 인한 사상자가 또다시 크게 늘었다고 한다.

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99년 중 자동차보험에 가입한 1천31만9천3백46대의 차량 가운데 49만3천9백65대가 인사사고를 냄으로써 사고율이 4.8%를 기록했다.

98년의 3.6%보다 1.2%포인트가 늘어난 것이다.

사상자는 하루 평균 1천9백26명 꼴인 70만3천1백56명으로 38.7%나 늘었다.

1년 동안 전주시나 청주시의 전체 인구만큼 다치거나 죽었다는 끔찍한 얘기다.

차량 1만대당 사망자수는 8.7명(98년)으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단연 1위이며 세계적으로는 중국(17.6명)과 남아프리카(15.6명)에 이어 3위다.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손실이 11조원(97년)이라는 통계도 있지만 인명의 손실은 가족이나 친지의 슬픔과 가정파괴 등 돈으로 계산할 수 없을만큼 엄청날 것이다.

선진국의 10배나 된다는 사고율이 환란을 겪으며 한때나마 줄어들다가 다시 급증세로 반전됐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이유는 여러가지다.

차량운행이 늘어난데다 대형 차량의 지정차로제가 폐지되고 일부 도로의 제한속도가 높아지자 화물차와 버스 등의 난폭운전과 과속차량이 증가한 점을 들 수 있다.

소형 추돌사고가 늘어나는 점으로 미루어 운전 중의 휴대폰 사용이 불러온 사고도 상당할 것이다.

교통경찰이 줄어들며 작년 6월부터 의무경찰의 교통단속마저 중단된 점도 꼽을 수 있다.

우리의 유난스러운 조급증과 교통법규를 우습게 여기는 운전습관으로 미루어 단속완화가 주 요인이라고 봐도 무리는 없을 것 같다.

대낮에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서 고의적인 법규위반 차량을 발견하는 일이 전혀 낯설지 않다.

음주운전 행태까지 감안하면 운전자의 고의에 의한 사고가 엄청날 것이다.

교통법규를 위반하면 가혹한 처벌을 받는다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운전악습을 바로잡는 길밖에 없다.

그래야만 사고로 인한 천문학적인 사회비용과 인명손실을 선진국 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