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데르센의 동화에 자주 등장하는 황새는 "효도새"다.

70년의 긴수명을 누리면서 한번 짝을 맺으면 평생을 함께 산다.

새끼들에게 기울이는 부모의 정은 말할 것도 없지만 병들고 늙은 부모황새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주고 날개로 보호하는 새끼 황새들의 보살핌은 지극하다.

이런 황새의 행동에 감동한 로마인들은 자녀가 나이 든 부모를 의무적으로 부양토록 한 법을 만들어 "황새법"이란 이름을 붙였다.

"황새( stork )"의 그리스 어원인 "스토르게( storge )"라는 말은 "강한 혈육의 정"이란 뜻이다.

"효도새"인 황새와는 반대로 부엉이는 "불효새"다.

8,9마리나 되는 새끼들이 어미부엉이를 잡아먹었다는 이야기가 중국의 "둔재한람"에 전해온다.

우리 민속에서 한밤중에 우는 부엉이는 흉조와 죽음을 상징한다.

부엉이가 어느 동네를 향해 울면 그동네 어느집에서 상을 당할 것을 예고한다고 믿었다.

"부엉이 셈"이란 말은 낮에 물체를 잘 보지 못하는 부엉이 처럼 어리석어 대충대충하는 계산을 빗대어 하는 말이다.

또 닥치는 대로 물어다 쌓아두는 부엉이의 습성때문에 "부엉이 곳간"이니 "부엉이 집을 얻었다"는 말도 생겼다.

부정축재로 자신도 모르게 부쩍부쩍 느는 재물을 "부엉이 살림"이라고 하기도 한다.

"고양이 얼굴을 닮은 매"라고 해서 묘두응이라고도 불리는 부엉이는 올빼미과에 속한다.

전세계에 1백30여종이 있고 그 중 하나인 수리부엉이는 지금 천연기념물 324호로 지정돼 보호받고 있다.

경기도 안성 고성산에서 산불로 죽은 나무들을 벌목하던중 바위틈에 둥지를 튼 수리부엉이 새끼 3마리등 일가족이 발견됐다고 한다.

둥지 부근에서는 1주일째 새끼들을 걱정하는 어미가 울고있다고 해서 화제다.

부엉이 어미의 새끼사랑도 본능적인 것인 모양이다.

자연은 물론 인간성까지 파괴해 가며 어리석은 "부엉이 셈"으로 "부엉이 집"을 얻어 하루아침에 횡재할 생각만 하고 있는 것이 요즘의 세태다.

그래서인지 수리부엉이에게 꼭 생태계파괴의 항의를 받는 느낌이 든다.

기우겠지만 부엉이 울음소리가 흉조라고 해서 수리부엉이 가족을 잡거나 쫓는 일은 없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