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신탁회사들이 공사채형수익증권에 편입된 대우채권 환매비율을 80%에서
95%로 잇따라 확대하고 있다.

당초 내년 2월8일로 예정된 환매비율 확대를 앞당겨 실시하고 있는 것.

환매자금을 다시 신상품에 가입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긴 했지만 고객들로선
그만큼 선택의 폭이 넓어진 셈이다.

내년 2월8일까지 그대로 뒀다가 그때가서 대우채권의 95%를 찾든지, 지금
당장 95%를 받아 신상품에 가입하든지 선택하면 된다.

수익증권 가입자들로서는 지금 당장 환매해 신상품에 가입하는게 유리할까,
내년 2월까지 기다리는게 좋을까.


<> 환매비율을 확대하는 회사 =회사마다 사정이 다르다.

업계의 자율 결정사항이기 때문이다.

증권사중에서는 아직 대우채권의 환매비율을 95%로 높인 곳은 없다.

현재로선 투자신탁회사만 여기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환매비율 확대를 결정하고 대우채권의 95%를 지급하고 있는 투신사
는 모두 4개사다.

삼성투자신탁증권이 처음으로 환매비율을 80%에서 95%로 확대했다.

이어 동양오리온투자신탁 한국투자신탁 대한투자신탁 등이 잇따라 동참했다.

대형 3투신중에서는 현대투자신탁증권만 환매비율을 확대하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이 문제를 놓고 저울질을 하고 있는 투신사들이 많아 조만간 95%를
우선 지급하는 곳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 95%를 지급받기 위한 조건 =확대된 비율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각 투신사
들이 지정한 상품에 환매자금을 재투자해야 한다.

투신사들이 제시한 상품은 대부분 만기가 6개월 이상이다.

이보다 만기가 짧은 상품은 대한투자신탁의 주식형 수익증권인 "윈윈코리아
더블타겟주식"이 유일하다.

이 상품은 만기를 3개월로 정했다.

환매비율을 조기에 확대한 만큼 일정기간동안은 자금이 묶이는 것은
각오해야 한다.

투신사들은 또 내년 2월8일까지는 어떤 형태의 상품에 가입했든지 환매가
불가능하다는 조건도 내걸었다.

일반적인 주식형 수익증권은 만기전이라도 환매수수료를 물고 자금을 회수할
수 있지만 대우채권의 95%를 받아 재투자한 경우에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무조건 2월8일까지 자금을 묻어 둬야 한다는 뜻이다.


<> 환매후 신상품에 가입했을때 유리한 점 =예상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현재 자금이 묶여 있는 펀드의 편입자산중 대우채 부분에서는 거의 수익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우채권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펀드에 가입하면 환매를
하지 않고 기다릴 때보다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특히 대우채권 편입비율이 높은 펀드에 가입한 고객은 조기환매가 더욱
유리하다.

이런 점에서 볼때 급히 쓸 자금이 아니라면 다른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특히 내년 증시를 낙관한다면 주식형 수익증권을 통해 그동안의 손실을
한번에 털어내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지긋지긋한 대우채권 문제를 일단락지을 수 있다는 점도 투자자에게는
하나의 매력이다.

새천년을 새로운 투자전략으로 맞이하려는 투자자에게는 조기환매가
어울린다.


<> 내년 2월8일까지 기다렸을 때 유리한 점 =자금회수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투신사들이 모두 6개월 이상의 장기형 상품가입을 조건으로 내걸었기 때문에
조기환매를 할 경우 내년 6월께까지는 자금을 다른 곳에 이용할 수 없다.

내년 2월8일 이후에 환매수수료를 지불하고 자금을 빼낼 수도 있지만 어느
정도의 손해는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면 느긋하게 기다리면 내년 2월 이후에는 투자자가 마음먹은대로 활용이
가능하다.

최근 활황을 보이고 있는 코스닥 시장에 대한 투자도 고려해 볼 수 있고
공모주 투자에 자금을 투입할 수도 있다.

또 이번 대우채권 문제를 계기로 투신권에 대한 불신의 골이 깊어진
고객이나 다른 투신사의 상품으로 자금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투자자는
"기다림"을 선택해야 한다.


<> 환매후 어떤 상품에 가입해야 하나 =상품의 종류는 다양하다.

주식형 수익증권에서부터 하이일드 펀드, 클린 공사채형 수익증권 등이
재가입 대상이다.

한국투자신탁과 대한투자신탁은 확정금리를 제시하는 신탁형 상품도
곁들였다.

신탁형 상품의 제시금리는 연 7~8% 수준이다.

공사채형 수익증권의 경우에는 싯가평가가 적용된다.

환매자금만을 모아 신상품을 설정하기 때문이다.

단 삼성투신증권은 장부가를 적용하는 공사채형 펀드를 선보였다.

기존에 있던 펀드에 환매자금을 추가하는 형식을 띤다.

삼성투신은 이 상품의 수익률을 연 7~8%로 예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객 자신의 투자성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가입상품을 선정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따라서 보수적인 투자자라면 공사채형 수익증권이 제격이다.

투신사들이 제시한 상품중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투신사들이 공사채형 펀드에 싯가평가를 도입할 예정이므로
금리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출렁일 수 있다는 점은 기억해야 한다.

하이일드 펀드도 선택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신용등급이 낮은 채권에 투자해 어느 정도의 위험이 상존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6개월 만기일 경우 펀드의 5%에 해당하는 자금을 투신사들이
의무적으로 투입하므로 일정수준의 안정성은 확보된 상품이다.

공사채형 펀드가 제시하는 수익률에 만족하지 못하는 투자자라면 주식형
펀드에 옮겨타야 한다.

증시 전문가들이 대체로 내년 증시를 밝게 본다는 점에 기대를 걸어 볼 수도
있다.

전문가들의 예상이 맞아 떨어진다면 그동안의 손실을 한번에 만회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환매비율 조기확대 이후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상품은 공사채형
수익증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래 공사채형 펀드를 선택했던 투자자들인 만큼 보수성향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가장 먼저 환매비율을 높인 삼성투신증권의 경우 지금까지 조기환매를
신청한 자금중 85% 가량이 이 상품을 선택했다.

< 안재석 기자 yagoo@ 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