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3 정상회의"는 지난 97년 12월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 비공식회의때 처음으로 등장했다.

10개 아세안 회원국들이 창설 30주년을 맞아 한국과 일본 중국 등 3개국
정상을 초청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지난 67년 결성된 아세안 회원국은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10개국.

이들 국가에 속한 총인구는 5억1천만명에 달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3개국은 정회원국이 아닌 "대화상대국"이다.

옵저버 자격보다는 한단계 높지만, 의사결정권은 없다.

첫 회의는 정상들의 상견례 성격이 강해 국제사회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해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 2차 아세안+3 회의에서 아시아
금융위기를 해결하는 다양한 협력방안이 모색되면서 전세계의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이 회의에서 한국이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해 참석한 국가원수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김 대통령은 또 이 회의에서 제반 협력과 경험을 연구 공유할 "동아시아
비전그룹"창설을 제의해 현재 활동중이다.

중국측에선 후진타오 국가부주석이 참석했었다.

회의는 아세안+3에 이어 아세안+1의 형식으로 진행된다.

한국과 중국 일본이 나란히 초청돼 지역 공동현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나중에 아세안과 개별 국가별로 회의를 갖는 방식이다.

우리나라는 동남아국가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높아가고
있는 점을 감안해 아세안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외경제 활동영역을 넓히기 위해서는 이들 국가와 긴밀한 협조가 필요
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 김영근 기자 ygkim@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1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