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는 정부의 워크아웃 검토에 대해서 직접적인 반응을 자제했다.

워크아웃 시기 및 대상 기업이 명확하지 않은데다 어떤 형태로 워크아웃을
진행할지 현재로선 알 수 없다는 입장이다.

대우 구조조정본부 관계자는 "협력업체들이 대우 계열사로부터 받은
진성어음을 할인받지 못해 부품 생산에 차질을 빚는 등 대우의 생산 영업
기반이 붕괴되는 것만은 막아줄 것을 금융감독위원회에 요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상황인식에 따라 정부 및 채권단이 추가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워크아웃을 검토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대우는 금융감독위원회 및 채권단과 워크아웃 추진과 관련해 따로
협의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대우 임직원들은 형식에 관계없이 대우 계열사를 살리기 위한 조치라면
환영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우 계열사들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어떻게든 기업을 살리는 쪽으로 대우
처리방침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채권단이 대우 계열사를 워크아웃에 넣을 경우 채무조정 부채탕감 출자전환
을 통해 계열사별로 정상화를 꾀할 수 있다.

물론 대우 일각에서는 워크아웃 추진에 대한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다.

가뜩이나 떨어진 대우 신용이 더욱 추락할 수 있다.

해외에서 자칫 기업 퇴출로 받아들여 영업이 더욱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해외 채권단으로부터 여신을 회수당하고 현재 추진중인 자산
매각 협상도 차질을 빚을게 뻔하다.

정부 및 채권단도 이점을 우려해 워크아웃을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워크아웃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우 계열사들이 차례로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경영 및 구조조정의 주도권은
자연스럽게 채권단에 넘어갈 전망이다.

때문에 대우 임원들중 상당수는 자리를 물러날 수밖에 없다.

자산매각 협상도 전적으로 채권단에 넘어가게 된다.

< 이익원 기자 iklee@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8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