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M은 Total Productive Maintenance의 약자다.

전사적 생산 보전운동으로 풀이된다.

설비보전은 보전부서만의 고유업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전 종업원이 설비의
보전업무에 참가해 설비고장, 불량, 재해의 제로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의 체질을 변화시키자는 기업혁신운동이 바로 TPM이다.

이 운동의 발생지는 일본이다.

지난 69년 일본 도요타의 자회사인 닛본덴소에서 처음 시도됐다.

그 성과가 알려지면서 일본 플랜트 메인티넌스(JIPM)가 이를 체계화,
TPM운동으로 발전시켰다.

일본에서 TPM이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71년이었다.

74년 일본 TPM상이 제정된 이후 기업의 품질, 생산성, 원가절감에 혁혁한
성과를 올리면서 일본의 전 산업분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원래 이 운동의 기초가 된 것은 50~60년대 유행했던 미국의 PM활동이었다.

PM은 Preventive Maintenance의 약자로 예방보전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당시 활동은 설비관리 전문가들의 전문분야였다.

이를 일본이 전사적 범위로 발전시켜 TPM이 탄생한 것이다.

일본의 TPM은 다시 미국으로 역수입돼 포드자동차 코닥 등 많은 기업들이
실시했다.

이밖에 스웨덴 볼보 등 유럽을 포함, 전세계 23개국에서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한국에 TPM이 처음 소개된 것은 지난 87년.

한국표준협회가 일본플랜트 메인티넌스협회(JIPM)로부터 TPM 기법을
전수받아 국내업체들의 교육에 나서면서부터였다.

2년뒤인 89년에는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반도체부문, 동서식품 등 3개
업체가 사업장에 TPM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면서 한국기업들의 TPM혁신이
시작됐다.

그후 이들 업체들의 TPM 성과가 입증되기 시작하면서 90년대 중반께부터
국내 기업에도 급속도로 확산돼 현재 3백여개 기업들이 TPM을 도입해 시행
하고 있다.

특히 설비의존도가 높은 장치산업 및 조립, 가공산업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초기에는 대기업이 주축이 됐으나 최근 들어서는 대기업 협력업체를
중심으로 중소기업들에도 확산되고 있다.

TPM은 8가지 활동을 주축으로 전개된다.

첫째 자주보전활동.

과거 설비보전업무를 하지 않던 생산부문에서도 설비보전 활동을 벌이는
것이다.

둘째 개별개선 활동.

설비의 불합리나 만성적인 로스를 방지하는 활동이다.

셋째 계획보전활동.

설비고장이 나기 전에 설비진단기술 등을 이용해 사전에 대처하는 활동이다.

넷째는 품질보전활동.

설비가 품질을 좌우한다는 인식아래 설비보전단계에서부터 품질을 높이자는
것.

다섯째 설비초기관리활동은 설비의 설계에서 폐기까지 설비의 일생을 가장
경제적인 비용으로 다루는 일이다.

여섯째로는 사무간접부문 활동을 들 수 있다.

설비를 다루지 않는 사무간접부문으로 TPM을 확대하는 것.

일곱째는 설비및 플랜트의 안전과 환경보전을 높이는 활동이며 마지막으로
직원들이 TPM활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벌일수 있도록 하는 교육훈련을 들 수
있다.

< 노혜령 기자 hroh@ >

-----------------------------------------------------------------------

[ TPM의 변천 ]

< 종합적 설비관리(TPM) 시대 >

<> 70년대 - 생산부문 TPM시대
<> 80년대 - 전사적 TPM시대
<> 90년대 - TPM의 글로벌시대

< 주요사건 >

<> 70년대

- 해외 :.1971년 닛본덴도 TPM 시작
.74년 일본TPM상 제정

<> 80년대

- 해외 :.84년 일본 플랜트메인트넌스협회 발족
- 국내 :.한국표준협회, TPM기법 국내 소개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동서식품 TPM 도입

<> 90년대

- 해외 :.91년 TPM 세계대회 개최
- 국내 :.제일제당, 두산, LG화학, 대웅제약 등 전업계로 TPM 확산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6월 16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