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류없는 상거래를 실현하는 전자문서교환(EDI) 시스템이 유통.물류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종이문서형태로 서류를 작성하거나 발송하고 정리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모두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EDI는 거래 상대방과 전자우편이나 팩시밀리로 문서를 주고받는 단계를
넘어 표준화된 전자문서로 통신하는 정보기술(IT)이다.

이 전자문서는 종이문서처럼 사람이 직접 읽을 필요가 없다.

컴퓨터가 이를 인식해 자동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사람의 손으로 문서를 처리할 때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

EDI가 경비를 크게 줄이고 생산성을 높여 정부나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기업이 협력회사나 대리점 등과 컴퓨터를 통해
문서를 주고받거나 대금을 결제할수 있다.

정부도 물자조달이나 통관, 민원업무, 의료서비스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EDI는 60년대말 미국의 운송업계에 처음 도입됐다.

요즘 말하는 전자상거래의 효시인 셈이다.

운송업체들은 지난 81년 보다 체계적인 거래를 위해 전자문서에 대한
표준과 통신표준까지 만들었다.

이후 EDI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여러 국가들이 잇따라 도입하면서
국제적인 표준화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가별 기업별로 서로 다른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생기는 불편을 덜어
EDI이용을 확산시키자는 목적에서 나온 주장이다.

이에 따라 유엔(UN)은 국제무역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표준화작업을
추진, 90년 EDI통신표준으로 "X.435" 권고안을 제정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87년 대우자동차가 미국의 거래선인 제너럴모터스
(GM)와 EDI거래를 시작했다.

이후 EDI시스템은 무역분야와 물류 의료 조달부문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이용실적도 늘어나고 있다.

EDI를 도입한 기관당 이용실적은 96년 1천1백39건에서 97년엔 2천1백68건
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났다(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하루 3번정도 쓰던 것이 6번정도가 됐다는 이야기다.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면 EDI이용은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19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