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들어 관광산업이 새로운 고효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미래학자들은 정보통신산업, 환경산업과 함께 관광산업을 21세기 3대 전략
산업으로 예견하고 있다.

2000년대초 관광산업은 세계 총생산의 12%, 총고용인구의 11%를 점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 관광시장 규모는 앞으로 10년 이내에 2배이상 고도성장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도 관광산업분야에서 성장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경제대국 일본과 12억 인구의 중국, 자본주의 시장경제로 급속히 이행하는
러시아 등 주변환경이 좋기 때문이다.

또 2000년 ASEM(아시아유럽정상회의)과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 개최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앞두고 있다.

또 최근엔 중국인 무비자입국제도가 시행돼 전망을 더욱 밝게 했다.

이에 따라 97년 52억달러였던 관광외화수입이 오는 2000년대초에는 1백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IMF시대를 맞아 관광산업은 외화벌이 측면에서 "효자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이런 관광산업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
같다.

최근 공기업 민영화의 하나로 한국관광공사 기능을 대폭 줄인다는 방침이
나왔다.

세계 각국이 정부차원에서 관광정책기구를 강화하고 재정확충에 심혈을
기울이는 것과 정반대다.

그동안 우리나라 관광산업은 정부의 몰이해와 국민들의 인식부족으로
후진성을 면치 못했다.

규모도 영세했다.

지원기관은 관광공사 하나 있는 게 고작이었다.

정책의 우선순위에서도 항상 뒷전으로 밀렸다.

그러나 정부의 이런 정책기조는 개선돼야 한다.

문화체육부를 문화관광부로 이름바꿔 1개과를 신설했다고 생색을 내서는
안된다.

관광분야 인력과 예산지원을 늘리지는 못하더라도 세계적 추세에 거스르는
민영화는 재고돼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대통령이 한국을 알리는 상업광고에 출연하며, 관광부문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말은 공허한 외침에 머물고 만다.

공기업 민영화정책에서도 옥석을 가려야 한다.

대부분 공익적 성격을 띠고 있는 관광공사의 기능을 감안할 때 민영화는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

< 박흥서 한국종합경제 연구원장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18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