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차세대 반도체인 2백56메가D램을 세계 처음으로 생산, 미국의
대형 컴퓨터업체들에 시제품을 출하했다는 소식은 IMF사태 이후 침울하기만
한 산업현장의 분위기를 한결 밝게 해주는 모처럼의 낭보가 아닐 수 없다.

이 제품은 94년 첫 개발성공에 이어 국내외에서 양산기술 개발경쟁이
붙었던 제품으로 이번에 삼성이 당초 예상보다 1년여 앞서 생산에
들어감으로써 한국이 16메가.64메가D램에 이어 21세기 세계반도체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놨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특히 이번 일을 높이 평가하는 것은 12인치 웨이퍼 설비에 대한
신규투자 없이는 2백56메가D램을 생산할 수 없을 것이란 통념을 기술로
극복하고 기존 8인치 웨이퍼로 신제품을 생산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반도체업계는 그동안 15억~17억달러의 투자비가 소요되는 12인치 웨이퍼
공장 건립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2백56메가D램 생산일정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었다.

이같은 시점에서 신규투자가 필요없는 차세대반도체 양산기술이 실용화
됨에 따라 단순한 기술적 성과를 넘어 한국 반도체산업과 전체 경제에 주는
플러스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번 쾌거는 우리의 경제위기를 틈타 한국반도체업계의 기세를
꺾기 위해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미국 반도체업계에 대한 멋진 대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최근 미국 반도체업계는 한국에 대한 IMF의 구제금융 지원조건에
한국반도체산업의 구조조정을 명시해줄 것을 요구했는가 하면 상무부는 지난
3월 한국산 D램 반도체에 대해 이례적인 고율의 덤핑마진 예비판정을
내리기도 했다.

이때문에 한국반도체산업은 신규투자부진과 미국의 집중적인 견제에
못이겨 세계반도체시장에서 낙오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기도 했었다.

이번 삼성의 성과는 이같은 국내외 시각을 불식시키는데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반도체산업의 주변환경은 그리 낙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지난해 4월 개당 50달러였던 64메가D램의 현물가격은 1년사이에 9~13달러
까지 내려간 상태다.

분석기관들은 메모리시장의 불황이 당초예상보다 길어져 내년 하반기부터나
회복세가 시작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메모리시장의 주도 세력인 한국으로서는 가격하락을 막고 채산성을
개선하는 일에 보다 적극성을 보여야 할 것이다.

또 거의 전적으로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반도체장비의 국산화와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진출확대도 장기적 안목에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과제이다.

연간 반도체수출액(97년)이 1백75억달러에 이르지만 부가가치가 높고
불황을 거의 타지 않는 비메모리 반도체의 비중은 고작 10%에 그치고 있다.

이제 우리도 양 위주의 메모리 일변도 체제를 벗어나 반도체 선진국들처럼
비메모리분야의 투자를 늘림으로써 반도체산업의 안정화에도 보다 많은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5월 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