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북한의 식량난은 지난 95년, 96년 연이은 대홍수가 치명적
원인이었던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하지만 식량문제는 북한정권 초기부터 있었던 것같다는 느낌이 든다.

일본 원서방이 펴낸 한국.북조선편람(1987)에 이런 내용이 있다.

김일성은 "쌀은 즉 사회주의다"라는 슬로건으로 식량생산에 힘을 쏟지만
북조선은 1962년이래 식량통계를 일절 발표하지 않다가 1974년 곡물
7백만t을 생산했다고 발표했다.

그후 매년 발표했는데 84년 생산량은 1천만t이다.

그러나 이 수치는 입묘감모율 오차 등을 감안, 5백60만t에 불과하다.

공산국가들은 국가의 농업생산을 협동농장 국영농장등으로 집단화했다.

구소련의 콜호스 소프호스, 중국의 인민공사등은 대표적인 집단농장이다.

구소련의 집단농장은 러시아의 옐친 대통령에 의해 1991년부터 사영화의
길을 밟고있다.

중국의 인민공사는 농가생산청부제도입으로 새롭게 바뀌었다.

농가생산청부제는 1979년 안성현 봉향현의 18호의 농촌마을에서 시험적으로
도입됐다.

그 내용은 간단하다.

경작권은 15~30년 허용하고 여분의 식량은 농민이 자유롭게 처분할수있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생산한 농산물의 일부를 정부에 바친후 나머지를 자유처분 할수있게 되면서
농민의 농사의욕이 크게 살아났다.

중국의 양곡통계가 이를 보여준다.

1981년 양곡생산은 3억2천만t, 82년에는 3억5천만t이었다.

청부제실시농가가 94.5%에 이른 83년에는 3억8천만t으로 늘었다.

제도도입전과 비교해서 몇년사이에 연간6천만t이상 늘었다.

북한도 이웃 중국의 성공에서 배우려는 모양이다.

유엔개발계획(UNDP)이 중국농업전문가의 북한파견등을 지원한다는 소식이다.

북한은 "중국식 농업개혁" 등 경제부흥계획을 마련하고 다음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대북 원조국회의에 20억달러의 지원을 요청할 예정이라
한다.

집단농장제를 바꿔 농민에게 농토를 나눠주고 생산물판매를 일임하는
조치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한다.

새제도의 도입으로 북한의 식량위기가 보다 빨리 해소됐으면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8년 3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