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시중에선 대통령선거 못지않게 IMF구제금융이 오나가나 화제다.

나라가 거덜날 지경이어서 신청한 구제금융인데 이것이 상당기간은 나라의
정책이나 국민들의 생활형편을 더 어렵게 할 것이라는 불안이 팽배해지고
있는 것이다.

IMF구제금융은 한국이 이 기구의 회원국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지만 우리가 이에 가입하기까지에는 순탄치 못한 역정이 있었다.

한국은행은 1950년 창립이래 IMF와 국제부흥개발은행(IBRD)에의 가입조건과
절차 등을 연구하고 있었다.

IMF는 회원국의 국제수지불균형 시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IBRD는 전후
경제부흥과 개발을 돕기위한 것이어서 양기구에의 가입은 절실한 과제였다.

그러나 당시 정부에서는 이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더구나 그때로서는 막대한 분담금을 내야 하기 때문에 주저할 수밖에
없었다.

1953년2월15일의 긴급통화금융조치후 다행스럽게도 8천6백80만달러에
달하는 유엔군대여금의 달러화 상환을 받게 되었다.

외화자금이 충족된 호기를 이용하여 한은은 정부에 IMF와 IBRD가입의
필요성을 건의하고 양기구에 이를 타진하였다.

그 결과 호의적인 반응을 얻어 정부에서는 적극적 가입교섭을 벌이게
되었다.

가입출자금 규모는 브레튼 우즈협정 체결해인 1944년이전 수년간의 신청국
국민소득 수출입액 무역외수지 외환거래상황 외환보유액 등 기초통계를
근거로 하여 산출하게 되어있다.

일제식민시대의 그같은 통계를 구할 수 없어 난감한 지경에 빠지고 말았다.

백방으로 자료를 찾던 끝에 미국 국회도서관에 기대를 걸었다.

거기에서 조선의 국민소득에 대한 단행본과 조선은행의 경제연보 조사월보
등을 구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남한만의 통계를 추출하여 조마조마하게 이를 인정받았다.

1954년6월 IMF 1천2백50만달러, IBRD 1천2백50만달러, 합계 2천5백만달러의
출자금이 결정되어 두기구에의 가입이 내락되었다.

그때 관계자들은 비싼 전화를 걸 엄두를 못내 이 기쁜 소식을 전보로
본국에 알렸다고 한다.

IMF신드롬속에서 다시 마음에 새겨야 할 대목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