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삼성 롯데에 이어 대우 현대 등 대기업들이 1백층 이상 초고층빌딩
건립계획을 속속 발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초고층빌딩은 그 시대 사회문화의 상징이다.

그리고 효율적 토지이용과 도시기반시설 공유 등의 배경적 필요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교통문제 등 주변환경에 대한 영향이 검증되지 않아 초고층 건축에
대해 완전한 사회적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다.

대한건축학회는 26일 한국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21세기 수도
서울의 위상과 초고층건축"이란 주제로 국제 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이날 건축 도시환경 교통 등 각분야 전문가들은 초고층의 배경과 필요성
그리고 문제점 등에 대해 발표했다.

내용을 요약한다.

<정리=김주영 기자>

======================================================================

[ 21C 도시공간 구조 ]

임창호 < 서울대 도시공학과 교수 >

21세기의 서울은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지중 하나로서 과학 정보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세계도시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그러나 기존의 기능적 공간과 산업구조로는 미흡하다.

서울에 초고층 건축물이 필요한 이유다.

초고층 건축은 평면적으로 확산해온 도시를 수직화시켜 서울의 도시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초고층은 <>효율성 <>형평성 <>쾌적성 <>다핵집합성 등 네가지 준거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네가지 기준이 올바로 적용돼야 도시공간구조상 새로운 개발과 건전한
투자를 유도하고 도시경제상 연쇄적인 파급효과에 의한 산업발전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또 도시교통상 효율적인 네트워크체계를 구축케 하고 도시경관상 지역
사회는 물론 전국적인 스카이라인 형성에 도움을 주는 상징적 요인이 된다.

초고층은 직장과 주거간의 근접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도 기여할
것이다.

서울의 초고층 개발을 위해서는 우선 관련법규의 정비가 시급하다.

또 도시기능을 활성화하고 계획구역을 크게 확대해 주변부까지를 폭넓게
포괄하는 지구종합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도시계획상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것도 당면 과제다.

초고층건물을 지을 때는 주위 환경에 크고 작은 외부효과를 가져온다.

건물의 수혜자나 피해자에 대한 적절한 비용분담이나 보상문제 등으로
인해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이다.

관계당국과 건축관계자는 외부효과를 적극적으로 내부화시킬 종합적인
대책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