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메리카의 안데스산맥을 탐험하던 스페인 정복자들은 페루사람들이
파파 (Papa)라고 부르는 작고 속살이 노란 구근류의 식물을 재배하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것은 스페인인들에게 "맛있는 식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그 식물은 실제로 맛이 있었고 오래 저장할수 있었다.

스페인 정복자들은 1532년 무렵 약탈한 재화를 스페인으로 보내는
운반선에 그 구근류도 실었다.

당시 스페인인들은 그것에 파타타 (Patata)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 명칭이 영어로 감자를 뜻하는 포테이토 (Potato)의 어원이 되었다.

감자는 스페인에서 이탈리아를 거쳐 중.북부 유럽으로 전파된 뒤
선편으로 아시아와 북아메리카로 널리 퍼져 나갔다.

감자의 한반도 전래에는 북방설과 남방설이 있다.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1824~25년 사이에 명천의 김씨가
북쪽에서 가지고 왔거나 청나라사람이 인삼을 몰래 캐러 왔다가 떨어뜨리고
간 것이라고 되어 있고 김창한의 "원저보"에는 1832년 영국 상선이 전북
해안에서 전수해 주고 간 것이라고 되어 있다.

그처럼 세계 각지로 퍼져나간 감자는 스페인 정복자들이 페루에서 약탈한
모든 재화보다도 훨씬 값진 역할을 해냈다.

수없이 가난한 사람들의 주식으로 널리 보급되거나 식량이 부족하고
기근이 들 때에는 대용양식이 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1840년대의 아일랜드인들은 거의 전적으로 감자만을 먹고 살았었다.

보통 크기의 삶은 감자 한개에는 70~1백칼로리의 열량에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C 등이 다량 들어 있어 그동안 주식이나 간식으로 선호되어 왔다.

최근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최양도 교수가 유전공학 기법을 이용해
설탕처럼 단맛이 나는 감자를 개발했다고 한다.

또 이 개발이 한발과 병충해에 강한 종자 개량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예상이고 보면 감자 증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설탕감자는 1983년 농약회사인 몬산토의 과학자들이 20~30%의 증산을
가져온 질병에 걸리지 않는 신종 토마토의 개발 성과를 뛰어넘는 개가라
하겠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