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안전공단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기 쉬운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87년 12월 설립된 정부출연기관이다.

공단은 기술사 1백50명 박사 30명 의사 12명 등 기사급 이상 6백여명을
포함, 총 1천1백여명을 전문인력으로 확보하고 있다.

공단이 하는 일로는 우선 산업재해 발생률을 낮추기 위해 위험사업장을
상시 점검하는 한편 재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0.88%였던 작년 산업재해발생률을 올해엔 0.74%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공단은 전체 재해자 수는 해를 거듭할수록 줄어들고 있으나 사망자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데 특히 주목하고 있다.

사망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건설현장 등 작업현장에는 아예 일선
기술직 직원을 전담시키기로 방침을 정했다.

재해발생률이 높은 18개 사업장에 안전설비를 도입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보조금도 지원하고 있다.

기업이 재해방지를 위해 투자할 경우 예상소요금액의 50%를 지원해 주고
나머지 돈은 융자를 해준다.

지난해에는 총 1천2백63개 사업장에 7백59억원을 보조.융자금으로
지원했다.

다음으로 안전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위험 기계설비에 대해 안전검사를
실시한다.

3t이상 크레인, 압력능력 30t이상 프레스, 적재하중 0.5t이상 리프트는
모두 공단의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공단은 이런류의 기계설비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설계도를 검토해 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토록 하고 완성돼 사용되기 시작하면 2~4년마다 한번씩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다.

특히 사고가 나면 대형사고로 연결되는 화학공장에 대해서는 8개분야로
기술기준을 정해놓은 KISCO 코드를 제정, 사업장에서 이를 지키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 풍부한 전문가 집단을 활용,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보급하는 일을 한다.

산하연구단체인 산업안전연구원에서는 위험한 기계에 설치돼 있는
안전장치, 근로자가 착용하는 보호구 등을 연구한다.

산업보건연구원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독성, 인체허용
한도 등을 연구하고 각종 직업병을 쉽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올해에는 방호장치 성능개선, 돌연사 예방방안 등 총 48건의 연구과제를
설정해 두고 있다.

또 독일의 PTB(연방물리연구소), 일본의 산업의학총합연구소, 미국의
NIOSH(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등과 협력해 기술도입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다.

공단은 올 하반기 중에 안전인증제도(S마크제도)를 시행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안전인증제도란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제품및 근로공간의 안전성, 사업주의
안전관리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그 안전성을 공단이 인증하는 제도다.

특히 미국 EU 등 선진국이 안전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국제무역에
안전문제를 연계시키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 외국의 안전인증기관과 상호
인증체제를 구축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미 지난 5월에 영국의 인증기관인 AMTRI VERITAS와 상호인증협정을
체결해 둔 상태다.

공단은 올해부터 외국인 노동자들을 교육시키는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대부분 3D업종에 종사하고 있고 국내 노동자들에 비해
안전의식이 낮아 산재발생률이 높다는 점을 의식한 것이다.

< 조주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