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란 중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서 과거 왕조시대에 임금의
재위기간을 나타낼때 붙인 칭호로서 천황제도가 유지되고 있는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본래 새로 임금이 즉위한 이듬해를 원년으로 하여 햇수를
세었는데 처음에는 특별한 명칭을 붙이지 않다가 한무제때 처음으로
건원이라는 연호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연호에는 새임금의 정치적인 이상이나 나라의 상서로운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 많지만 이밖에도 불교나 도쿄 또는 고전의 문장에서 따온 경우도 있다.

한동안은 같은 임금의 재위기간 중에도 여러번 연호가 바뀌기도 했지만
명나라이후 한임금의 재위기간중에 하나의 연호를 사용하는 일세일원의
원칙이 굳어졌다.

연호도 점차 단순한 연도기록의 의미를 벗어나 시대정신을 상징히기도
했고 약소국이 강대국을 따른다는 외교적인 약속의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앞의 예로 당태종의 통치기간을 정관의 치라하는 것이 대표적이며
당태종과 신하들의 국정토론을 기록한 정관정요라는 책은 역대 왕조의
필독서로 유명하다.

또한 연호는 원칙적으로 황제만이 사용되고 제후인 왕은 사용할수
없었으며 중국에 복속한 주변국가들도 마찬가지였다.

고려때 세차례에 걸친 거란의 침략을 겪은뒤 화해조건으로 송의 연호대신
요의 연호를 사용하기로 한 것이 외교적인 의미를 담은 대표적인 예다.

기록상 최초의 독자적인 한국 연호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사용한
영락이며 발해와 고려도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했다.

신라도 처음에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다가 나중에는 당의 연호를
사용했고 조선은 처음부터 명.청의 연호를 사용했다.

따라서 중국황제로부터 연호가 붙은 달력인 정삭을 받는 것은 당시에는
비중이 큰 외교적인 행사였다.

하지만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는 것이 국력신장과 비례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조선말엽 고종이 황제에 즉위하며 광무라는 연호를 사용했지만
얼마안가 일제식민지로 전락한 뼈아픈 경험으로 확인됐다.

김일성 사후 만 3년이 지난 지난 9일 북한은 김일성이 태어난 1912년을
원년으로 주체라는 연호를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주체라는 연호를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명색이 사회주의체제라면서 부자세습을 강행하더니 이제는 노골적으로
역사를 역행해 왕조시대로 돌아가겠다는 북한의 우상화놀음이 우습다 못해
서글프기까지 하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