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세력 동양지배의 구시대 청산이란 명분만으로 10여일로 닥아온 홍콩의
중국귀환은 세계사의 큰 분수령임에 부족함이 없다.

그러나 실질적 관심은 10여억 중국에 편입될 인구 6백40만의 홍콩이
얼마간 경제번영은 계속하더라도 과연 언제까지 현 자유체제를 유지할
것이냐에 집중되어 있다.

그 일단으로 오는 20일 미국 덴버서 열릴 러시아 참가 선진7국(G7)
정상회담의 공동성명이 이를 반영할 것이라는 일본정부 소식통 인용보도가
주목을 끈다.

17일자 교토통신은 "주권반환 후에도 홍콩의 안정과 번영이 유지되도록
촉구할 것"이란 짤막한 내용을 보도했지만 그 함축된 의미는 크다.

거기서 주목되는 대목은 "안정의 촉구"로서, 이것이 경제체계 보다는
언론자유를 포함한 현 홍콩 정치체계의 유지라는 점엔 이의가 없다.

그 가장 큰 근거는 현재 홍콩이 차지하고 있는 경제적 자산을 중국이
결코 손상시킬리는 없다는 상식수준의 기대인 것이다.

홍콩이 세계에서 무역고 외환보유 주식시장규모 각각 7위, 해외투자 4위,
1인당 구매력과 외환시장규모 각 5위, 국제 경쟁력 3위, 경제적 자유
1위라는 지표들은 동양의 진주라는 낭만적 묘사로 모자라, 중국이란
기관차에 로켓엔진 장착이라는 표현이 더 어울린다.

길은 여기서 엇갈린다.

이런 경제적성취가 정치체제와는 완전별도로, 7월 흡수이후 홍콩의
정치-사회 메커니즘을 가령 천안문시위 진압식 반인권방향으로 전환하더라도
손상되지 않고 지속될 것이냐 여부야 말로 세계적 관심의 표적이고 역사의
수수께끼다.

오류없는 완벽한 정답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경제적 자유 세계1위란 지표가 말하듯 여러 제약속에서 홍콩의
단시일내 이룩한 경제적 경이야 말로 규제철폐, 작은 정부의 결실이라
보는데는 인색할 수 없다.

영왕실 비판 불용등 종래홍콩체제가 정치적 자유 만끽과는 거리가 있어온
것은 사실이다.

하나 일상 주민생활에서의 인권보장-불간섭은 완벽에 가까웠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일 이것이 중국수준의 통제로 대체될 경우에도 홍콩의 번영이 계속돼
새 중화권 경제의 심장부로 중국은 물론 동아시아 발전에 기여할 것인가
하는 질문엔 누구도 답이 궁하다.

오는 30일 주권 교체식엔 참석하되 곧 이을 홍콩특구 요인의 취임선서식
참가는 거부키로 한 영-미의 불만은 이미 던져진 암영일 수 있다.

그것이 84년 영-중 기본합의를 무시, 중국이 불법 구성을 강행한 입법회와
그 첫 입법조치에 대한 항의란 점은 G7정상이 공동성명을 준비하는 배경을
설명한다.

1백55년만에 주권은 반환하되 2047년까지 홍콩의 현체제를 지속한다는
영-중 합의가 등식 표현으로 일국양제다.

그 존중여부는 전적으로 중국에 달렸다.

단 관심은 세계 공통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