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대북 이전은 국제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하며 이해당사국간 그리고 지역간 합의에 따라야 할 것입니다"

한국원자력연구소와 국제원자력기구 (IAEA) 공동 주최로 26일부터 4일간
일정으로 대전에서 열리고 있는 "원자력이용 해수담수화 심포지엄"에
참석키 위해 방한한 한스 블릭스 IAEA 사무총장(69)은 "재처리된 핵연료와
마찬가지로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국가간 이동도 IAEA가 정한 안전기준과
국가간 합의에 따라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재삼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대만이 북한으로 반출하려고 하는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중국측에서 받아들이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며 "현재 두나라간 구체적인
대화는 없지만 방사성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지역갈등을 해소할수 있는
좋은 방안의 하나"라고 말했다.

-대만 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대북이전을 저지할 방안은 없는가.

IAEA는 지난 1월 대만이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대북이전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3월중 국제가이드라인을 준수해줄 것을 권고했다.

"IAEA는 방사성폐기물의 국가간 이동을 막을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

-북한의 저장능력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나.

"영변에 핵사찰요원이 파견되어 있지만 폐기물 저장시설에 대해 IAEA가
접근한 적은 없다.

다만 평산지역의 폐광지역이라고 들었다.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은 IAEA의 안전사찰 항목이 아니다"

-북한의 핵사찰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영변 원자로의 사용후 핵연료를 캡슐에 넣는 작업을 미국의 지원을
받아 검증 감시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화학실험시설 (재처리시설)에서의 플루토늄 추출여부에
대한 검증은 못하고 있다"

-북한은 이미 핵폭탄제조에 충분한 플루토늄을 갖고 있다는데.

"북한은 재처리를 한번만 했다고 하지만 정확한 것은 알수 없다"

핵폭탄 1개를 만들기 위해서는 8kg의 플루토늄이 필요한데 얼마만큼의
양을 분리했는지 알수는 없다.

IAEA가 93년부터 논의해온 안전조치 강화방안 (프로그램 93+2) 마련으로
미신고시설과 원자력연구개발활동에 대한 정보제공 확대및 추가접근이
허용돼 사찰활동을 보다 강화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방안은 회원국 서명 등을 거쳐 99년께 시행될 예정이다"

-IAEA 차기 사무총장에 대한 이사국의 지지동향은.

"이집트의 엘바라데이 현 IAEA사무차장보와 한국의 정근모 전과기처장관
두분이 후보에 올라있다.

6월4일 이사회 (35개국)에서 참석이사국 3분의2의 표를 얻는 후보가
총회에서 참석회원국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차기사무총장을 맡게된다.

사무총장은 사무처직원을 임명할 권한외에 차기사무총장의 선거에
관여할 입장은 아니다.

다만 두 분 모두 내 친구이다"

< 김재일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