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경제는 연간 무역적자 2백20억달러, 총외채 1천억달러 상회,
연간 기업도산 1만건 상회, 증가 일변도의 실업자와 노동법파동, 증시침체
등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그럼에도 국민들은 아랑곳 없이 사치와 외제선호, 향락과 과소비 등에 열을
올려 어린이들에게까지 확산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앞으로 한달사이 두차례의 설 연휴를 치르게 되면 우리경제는
더 한층 주름살이 늘어날 것 같다.

음력설 공휴제가 존속되는 한, 관공서와 은행 등의 휴무로 기업체들은 5일
이상 조업중단이 불가피하여 생산감소 약62억달러(한화 약5조원), 수출차질
13억7천만달러(약1조1천억원), 2천8백만명 대이동에 따른 여비 위락비 등
전 국민적 낭비 약 2조원이 추산되고 있다.

폐해는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물가자극과 기업의 자금압박, 심각한
교통혼잡과 인명피해 등 인적 물적 손실은 막대하다.

그리고 한해 두설의 모순성으로 인한 국민정서의 혼란 등 정신적 폐해도
적지 않다.

음력설을 선호하게 된 근본원인은 양력설은 왜놈설이고 음력설이 우리
고유의 명절이라느니, 음력아니면 농사 못짓는다느니 등의 그릇된 고정관념
때문.

하지만 우리나 일본이나 음력은 중국에서, 양력은 서양에서 들어온 외래문화
이지, 그 어느것도 우리 고유문화는 아니다.

우리가 양력을 공용력으로 채택한 것은 일제강점 15년전인 구한말 개화기
1895년이었으니, 양력설이 어째 왜놈설인가.

태양년 365일을 24등분하여 만든 "24절후"를 음력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다.

"설"이란 한해의 첫날을 뜻함인데도 한해에 두 설을 쇠는 나라, 그것도
둘다 "설"(양력은 신정, 음력은 설날)이라는 호칭으로 법정공휴일로 법제화한
나라가 지구상에 우리말고 또 있는가.

법률이나 실생활에 양력을 쓰면서, 구시대 유물인 옛설, 음력설이 왜 "설날"
인가.

우리 교육계는, 그리고 언론과 문화계는 왜 이를 묵과해 왔는가.

그동안 2세들을 어떻게 가르쳐왔는가 묻고 싶다.

김동진 < 서울 성동구 송정동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