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이사장 정주영)은 "현대사회와 성윤리"를
주제로 한 제8회 사회윤리심포지엄을 22일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실에서
연다.

이 심포지엄에서는 정주영이사장의 개회인사에 이어 기조연설과
주제강연, 분과별 주제발표와 토의가 이뤄진다.

분과별 주제는 "가족해체와 성윤리" "청소년의 성과 성윤리"
"성의 상품화와 성문제" "성규범과 법적통제" "성의식의 변화와 성차별"
등이다.

김규원 교수(경북대 사회학과)의 주제발표문을 간추려 싣는다.

< 정리 = 오춘호기자 >

===================================================================

<< 대중매체 성 상품화 >>

자본주의사회에서는 자본의 집중과 집적을 위해 가능한 모든 사물을
상품화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자본의 확대재생산을 이루게 된다.

인간의 성적욕망을 무한수요로 간주하고 성을 상품화해 공급하는
것도 자본주의 시장경제 확대현상의 한 측면에 해당한다.

성을 매개로 한 산업의 역사는 자본주의시대 이전부터 찾아볼 수
있으나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확립과 함께 다양한 종류의 성관련산업이
번창하기 시작했다.

특히 20세기후반에 들어 대중매체의 발달로 상품광고전략에 큰 변화가
초래되면서 성을 이용한 이윤증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성의 상품화현상은 서울올림픽개최를 전후로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확산돼 최근에는 제조업의 침체에 아랑곳없이 향락소비산업만
기형적으로 팽창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과학기술과 전자매체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성상품화는 대량화와
저가화, 신속한 배포방식 등으로 확산일로에 있고 그 이용자의 대부분이
청소년집단이라는 점에 비춰볼 때 극히 우려할 만한 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구미사회에서 유행하는 섹스 폰라인이 청소년들의 성문제 상담이나
전화를 통한 교제주선 등을 핑계로 국내에도 침투되고 있으며 성인용
CD롬타이틀이 청소년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우리 사회는 지금까지 선량한 풍속을 유지하고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을 보장한다는 명목으로 갖가지 규제조치를 만들어 놓았으나
성의 상품화현상을 억제하는데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이유는 이런 규제조치들이 각각 다른 주무부처의 행정지도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각 부처산하 여러 위원회형태의 자율적인 통제활동은 별다른 구속력이나
영향력을 갖지 못했다.

특히 성상품 공급자들은 첨단과학기술을 이용해 기존 법망을 피해가는
방법을 강구하는데 그에 대응하는 단속지침은 신속하게 마련되지
않는 실정이다.

성상품화에 대한 법적제재장치를 마련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이
문제에 대한 국민적합의 도출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성의 상품화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합작품이다.

따라서 공급자와 수요자는 성의 상품화로 인한 사회적폐해에 대한
일정한 대가를 치뤄야 한다.

성을 상품화해 취득한 이윤부문에 대해 가혹한 세금징수를 하고 그
돈은 성을 상품화한 내용의 분석 및 정도에 대한 조사연구비 또는
불법유통억제를 위한 감시비용으로 사용해야 한다.

공급자측이 값비싼 대가를 지불하게 하는 것은 시장원리상 자연히
수요자부담이 커지는 효과를 낳는다.

이는 장기적으로 성상품의 이용을 억제하는 심리적 정신적 제어력을
낳을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