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네 같은 장삼 이사에게는 낚시란 것이 도대체 손맛.입맛을 넘지
못하는 수준이라 그야 말로 붕어로는 월척을 한 적이 없고 4년생
감성돔은 그림에서만 보았으며 물정을 모르니 태공의 경지를 알지 못하는
터이다.

어려서 해안도시에 자란 터에 낚시가 특이한 애기거리는 되지 못하는
데다 어려서의 낚시는 그야말로 소일거리로 여름철 방과후와 방학에는
도대체 할일이라고는 염전저수지나 갯고랑에서 망둥어를 낚거나 둘레의
야산에서 개구리를 잡는 것이외에는 없었다.

이후 대학에 들어와 덕적태생인 지인이 자기고향에 가면 그 비싼
민어를 회로 맛볼 수 있다는 꼬임에 자의반으로 넘어가 7시간을 풍랑에
몸을 맡기고 다시 시골 10리 산길 시골 10리 바윗길을 걸어 덕적도
서북편 "등대" 근처레 도착, 상당히 "근대화"된 장비로 낚시를 다시
시작하게 된 것이다.

지금도 그렇지만 등대 근처만 서면 왜 가슴이 설레이는지.

망망하게 펼쳐지는 바다는 왜 사람을 아련하게 마비시키는지,
험하면서도 괴기하나 절벽은 오금을 저리게 하면서도 왜 다가서게
만드는지, 왜 그런한 풍치는 발밑의 물속이 "고기반 물반"이라고 착각하게
하는지.

지금도 조금도 달라지지 않았으나 그 날도 갯장어 몇 마리로 허기와
"안주"를 때울 수 밖에 없었고, 그 날 밤은 덕적도의 모든 모기와
그 유명한 "문갑도" 모기가 가셈한 성찬식에 지친 몸을 맡길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낚시행각은 그야 말로 시작이었다.

거래소에 들어와 휴가라는 것이 생기고 이를 계기로 "증권거래소
낚시회"와 본격적인 인연을 맺게 되었다.

어느해 여름 신문 한 구석에 유혹당하여 보길도로 감성돔 낚시를
간 것도 이러한 행각이 계속이었다.

신문의 낚시기사라는 것이 지금도 그렇지만 낚시에 대하여는 입맛에
거칠 것이 없었다.

고산선생의 유배지 유적도 곁눈으로 지나치면서 어부사시사의 절경도
못본체하고 예송리까지 온섬의 절벽을 뒤지고 다니다가 한밤에 가다시피
민박집에 들어와서는 주인 영감님의 "사람은 하루에 백리를 가고,
호랑이는 천리를 가나, 고기는 만리를 간다"는가름침 겸 위로를 받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는 중 사흘째되는 밤에 일년생 감성돔의 손맛을 본 것이다.

일년생이라 남이 볼꺄 창피스러운 일이었지만 감성돔이란 놈은 입질을
두번씩 하는데 첫번째 입질에서 불과 10여초후에 하는 두번째 입질까지
아랫배까지 힘을 주면서 참아야 하는 그 아릿한 손맛과 향긋한 입맛이
그 후에도 보길도를 두차례나 김태공과 최태공을 모시고 낚시행각을 하게
하였고, 드디어는 오태공과 이태공과 유태공을 모시고 모황도에,
급기야는 거래소 낚시회원까지 모시고 모황도를 또다시 찾게 한 것이었다.

거래소 낚시회는 이 명차장을 회장으로 서종남대리를 총무로 하여
김종해 부장, 오종근 부장, 박준서 차장, 류재성 과장, 정창석 대리 등
50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민물, 바다, 견지낚시를 망라하여 손맛과
입맛에 젖어들고 있다.

그 손맛과 입맛은 절절하여 한번 붙였다 하면, 그 후 고생을 하면
할수록, 더욱 생기있게 살아나는 터이라 아직도 끈끈하고 아릿하게
유혹하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