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사현 < 통산부 생활공업국장 >

정부는 반도체산업의 발전이 21세기 우리나라 첨단산업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도체산업의 제2의 도약을 위한 정책방향은 다음 네가지다.

첫째 이미 확보한 메모리분야의 비교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둘째
우리나라가 취약한 비메모리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며, 셋째 장비.재료
등 반도체 연관산업을 확충하고, 넷째 기반기술 개발을 획기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단기적으로는 국.공립대학 교수들을 기업부설 연구소에 파견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여 산.학.연간의 실질적인 연계와 상호교류 및 장기적인
협력체제를 구축, 기업들이 겪고 있는 고급 전문기술인력 확보 애로를
해소해줄 예정이다.

또한 95년말 현재 자급률 8%에 머무르고 있는 반도체 장비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중소 장비업체들이 개발한 장비에 대한 수요를 안정적으로 확보
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보고 현행 10%인 중소 반도체 장비업체에 대한
대기업 출자분 예외인정 한도를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반도체산업 기술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향후 10년간의
"반도체 기술발전지표"를 올해안에 마련하여 이를 바탕으로 반도체 관련
기반기술을 체계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함께 지난 93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 주관으로 추진중인 펜티엄급 첨단
마이크로 프로세서 개발을 내년 3월까지 완료하고 정부와 관련업계가 G7
사업으로 지난 93년부터 2천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추진해온 1기가급 D램
선행기초기술 개발을 위한 첨단반도체 기반기술개발사업도 97년까지 마무리
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첫째 주문형 반도체 회로설계기술 개발을 위하여 G7사업
으로 전자부품종합기술연구소가 지난해부터 추진중인 "주문형 반도체 개발
사업"을 99년까지 추완료, 주문형 반도체의 핵심분야인 디지털 신호처리용
프로세서 설계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아울러 기술담보제도 도입을 추진하여 기술집약형 설계전문 중소기업도
육성해 나갈 것이다.

둘째 반도체 설계인력 양성을 위해 지난해부터 한국과학기술원과 전국
42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는 "반도체 설계인력 육성사업"을 총 5백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오는 99년까지 추진한다.

비메모리반도체 설계기술에 대한 이론과 실무를 동시에 연구하면서 전문
석.박사학위도 취득할 수 있는 전문대학원의 설립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셋째 재료.장비의 자급을 위하여 95년부터 99년까지 중기거점사업으로
추진중인 "반도체 재료.장비 국산화 개발사업"에 총 5백억원을 투입하여
3~4년 내에 국산화가 가능한 반도체 재료 및 장비를 개발, 반도체산업 및
연관산업의 균형잡힌 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7월 3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