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시작했으니 되고봐야죠"

오는 6월에 있을 신규통신사업자 허가 경쟁에 뛰어든 기업들은 한결같이
반드시 사업원을 따내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들은 허가신청서 제출(4월15일 ~ 17일)이 두달여 남은 요즘 대학
입학시엄을 앞둔 수험생 입장이다.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을 이제 답안지에 옮기는 일만 남겨놓고 있다.

잘 치러 높은 점수를 얻는 것이 최대의 현안으로 등장했다.

높은 점수를 얻는 ''왕도''는 채점기준에 맞는 답을 적는것.

최근 윤곽이 드러난 신규통신사업자 선정을 위한 심사기준에 맞춰
컨소시엄을 완성하고 사업계획서를 완벽하게 짜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

사업참여 희망기업들은 이와함께 "내가 최고 적임자"라며 본격적인 이미지
부각에도 애쓰고 있다.

"3년전부터 기술개발에 나섰다" "운영능력은 내가 최고다" "중소기업만의
컨소시엄을 구성했다"등의 자랑거리를 내세운다.

반면 누구누구는 안된다는 식의 "방해전술"도 난무하고 있다.

"통신장비업체가 서비스산업에도 진출하는 것은 안된다" "통신사업마저
대기업이 다하면 경제력집중이 더욱 심해진다"는 주장등이 그런 종류다.

신규 통신사업 참여를 준비하는 기업들의 전략은 크게 두가지에 집중되고
있다.

컨소시엄의 완성과 사업계획서 작성이 그것이다.

물론 심사기준에 맞춰 가장 높은 점수를 얻는 "답안 작성"이 목표다.

참여 준비기업들은 사업계획서를 마련하는데서 우선 "내 능력이 최고"란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이석채 정보통신부장관이 최근 전경련 회원간담회에서 심사원칙과 관련해
"능력있는 사업자가 뽑히도록 하겠다"는 점을 강조하고 나선 때문이다.

자연히 기술력이 뛰어난 기업들은 희색이 밝아졌고 그렇지 못한 기업들은
다소 애를 태우고 있다.

그러나 "능력"에 관한 해석은 기업마다 조금씩 다른것 같다.

삼성 LG 현대등 통신장비업체들은 앞선 기술력과 풍부한 자금력등을
가리킨다며 이를 무기로 내세우고 있다.

반면 데이콤이나 서울이동통신을 비롯한 무선호출사업자들은 통신서비스를
하면서 쌓은 우수한 운영노하우등 서비스능력을 앞세운다.

통신서비스에서는 장비보다 운영기술이 핵심이란게 이들의 주장이다.

참여 준비기업들은 정통부가 요구하는 "통신산업 발전에 대한 기여" 조항에
대해서는 주로 세부적인 기술개발계획이나 통신업체에 대한 기술이전구상을
제시해 높은 점수를 얻겠다는 전략이다.

최저 30%로 제시된 연도별 연구개발출연비율을 가능한한 높게 제시해 투자
규모를 늘리고 필요인력을 가능한한 자체양성하는 계획등을 제시할 방침
이다.

"컨소시엄 구성"에서는 일단 참여대상기업을 거의 골라낸 상태로 중소기업
및 통신전문기업의 비중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종적인 컨소시엄 구성을 이달 중순, 늦어도 이달말까지는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컨소시엄 참여업체수는 개인휴대통신(PCS)쪽 참여기업들이 100~200개, 전국
TRS(주파수공용통신)는 60~70개, 무선데이터는 30~40개, 지역사업자들은
분야에 관계없이 30개정도가 일반적이다.

참여기업들의 성격은 통신전문기업이 "약방의 감초"격으로 공통되지만
나머지는 각양각색이다.

은행이 들어있는가 하면 언론기관도 참여,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분율은 관련산업 발전기여도와 중소기업육성을 중시하겠다는 평가원칙에
맞추기 위해 통신장비및 부품전문기업과 중소기업의 비중을 60%선으로 잡은
곳이 많다.

대주주 몫을 챙기는데 연연하지 않는다는 자세이다.

한도는 33.3%(유선전화는 10%)이지만 "15%면 어떻고 10%면 어떠냐"(남궁석
삼성그룹통신사업기획단장)는 자세까지 내보인다.

신규통신사업권 획득을 노리는 기업들의 막바지 스퍼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건수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1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