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태식 < 과기처 기술인력 국장 >

6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 고속성장은 한강의 기적으로 불릴 만큼
개도국의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고속성장의 원인을 살펴보면 바깥 세계에 비해 우리 경제가 상대적
으로 싸게 만들 수 있는 의류.신발 등을 만들어 외국에 팔고 우리나라에
없는 원자재와 생산비가 비싼 공업용원료및 자본재등을 수입 가공하여
재수출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러한 무역주도형 고도성장을 가능하게 했던 것은 재가공 수출에 필요한
기술인력의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높은 교육열에 힘입어 양산된 비교적 높은 학력수준을 갖춘
저임금 노동력이 풍부했다는 것이다.

60년대초 1인당 국민소득 80달러를 조금넘는 수준이었는데 교육수준은
1인당 국민소득이 우리의 3배에 달하는 나라와 같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수입은 자본재와 원자재가 총수입의 90%내외를 점하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의 자연자원의 절대적 부족과 축적된 자본과 기술의
상대적 부족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수출이 늘면 수입도 같이 증가하는 구조적 맹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극복하는 방안은 고부가가치의 고도기술 제품생산으로 대처하는 수
밖에 없다.

이렇듯 전문기술인력은 우리 사회발전의 기본바탕이며 발전의 원동력이다.

정부는 60년대부터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설립하여 산업의 부족한 기술을
공급.지원하여 왔다.

그러나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능력도 신장되어 81년 47개였던 기업연구소가
현재 2,000개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연구기관의 증가에 따른 연구의 활성화는 국가적 관심사가 아닐 수
없고, 특히 연구활동의 주체인 연구원들의 이동은 초미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모든 조직구성원은 퇴직을 하게 마련이다.

연구소의 경우 평균 근무기간을 25년으로 봤을 때, 기본 이직율(자연
퇴직율)은 4%가 된다.

그리고 조직의 활성화를 위한 신진대사를 통한 이직율을 기본 이직율과
같다고 봤을때 8% 정도가 된다.

적정한 이직은 조직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한 조직에서의 경험을 타 조직에
전파하여 사회전체 발전을 유도하는 한 요인이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직이 조직적으로 행해지는 예는 미국이나 프랑스 등 선진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학교수 채용시 자기 대학출신은 졸업과 동시에 채용하지 않고 있다.

상당기간 타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근무한후 자기 모교로 갈수 있도록
제도화 되어 있음은 좋은 예이다.

우리의 경우 어떠한가?

고급 전문인력이 모여 있는 대덕 연구단지의 경우, 정부출연 연구소 평균
이직율은 4~6%정도 이다.

기본이직율을 감안하면 2~3%의 실제 이직율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고교 진학자 수를 감안할 때 2000년까지 대학의 팽창은 계속되고,
따라서 대학의 박사급 고급인력의 수요가 계속 될 것이므로 출연연구소의
박사급인력이 대학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소의 박사급 고급인력의 이동은, 연구기능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우리나라 대학의 연구기능을 보강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고, 한편
으로는 출연연구소의 박사급 인력이 매년 100명 이상씩(이직자 제외) 증가
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신진 고급인력 유입은 연구소 활성화에 한몫을 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기업및 민간기업 연구소의 이직율과 공무원 이직율(5.1%, 94년
기준)등을 감안할 때 현재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이직율은 극히 정상적인
수준임을 알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12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