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시가 시청사의 새마을기를 내린다는 방침과 관련하여 새마을단체
와 마찰이 생기고 있다고 한다.

서울시 이해찬부시장은 새마을기를 내리면서 새마을운동의 의미가 퇴색하고
시민의 정서와 동떨어졌기 때문에 새마을기를 게양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말했다고 한다.

지방자치단체시대에 새마을기를 달고 내리고 하는 것은 그 깃봉을 소유하고
있는 관청이나 건물주가 결정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새마을운동의 의미가 퇴색하고 시민정서와 동떨어졌다는 말은
이해하기 어렵다.

비록 이 운동이 유신헌법하의 관에서 주도는 했지만 자의든 타의든 가난의
굴레를 벗어던지자고 온국민이 허리띠를 졸라 맸던 범국민적인 운동이었다.

지붕개량부터 절미운동 쌀증산운동 수출증대운동 간접자본확충등을 통하여
온국민을 땀으로 얼룩지게 근로의 현장으로 내몰았다.

물론 모두가 힘들었겠지만 그당시 그러한 운동이 없었다면 오늘의 한국이
선진국문턱까지 올수 있었겠느냐는 물음에 이의를 달 사람은 거의 없다.

나는 새마을운동에 참여해서 폭삭 망했다, 우리마을이 더 나빠졌다, 우리
회사가 망가졌다, 국민정서가 타락했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그런데 일부정치인이 새마을 정신을 "국민정서"를 들먹이며 퇴색이라는
말로 얼버무리는 것은 독단이라 하지 않을수 없다.

정부와 각 정당에 당부하고 싶다.

이제 30여년만의 지방자치 출범 원년이다.

지방자치에 따른 자율의 시대라고해서 피와 땀으로 이룩해낸 업적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지금은 환경 안정 복지가 강조되는 시대라는 조순시장의 말에는 이의를
달고 싶지 않다.

그러나 근면 자조 협동을 상징하는 새마을기가 시대변화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논리는 합당하지 않다고 본다.

왜냐하면 안정 환경 복지의 서울시 시책이 근면 자조 협동의 새마을정신을
대신할수는 없기 때문이다.

유영권 < 서울 송파2동 반도아파트 >

(한국경제신문 1995년 9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