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면톱] 정부출연연 연구원 절반 "이직 고려"
만족하면서도 장래에 대한 불안 때문에 절반가량이 이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민철구박사팀이 최근 과학기술처산하 5개
출연연구소 연구원 1백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결과 응답자의
69.3%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연구과제나 업무에 대해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54.6%는 이직을 고려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신분보장미흡(21.4%)과
장래성없음(19.7%)등 장래에 대한 불안이 주류를 이뤘고 급여상의 불만
(18%),연구자율성미흡(11%)과 승진정체(11%)등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연구원들이 느끼는 급여수준은 민간기업에 비해 71-80%수준이 절반가량인
46%,81-90%수준 27%,61-70%수준 22%등으로 민간기업보다 20-30%가량 낮다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는 실제급여격차와 거의 일치한다.
연구원들의 신분보장에 대해 65.4%가 미흡하다고 보고 있으며 보완
방안으로 제시되는 제도에 대한 찬성률이 테뉴어제(정년보장)가 80.8%,
연금제도 89.2%,학.연교환근무제 75.4%등이었다.
민박사는 "이번 설문조사에서 연구원들의 사기진작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하면서 안정적인 연구분위기
조성,연구원에 대한 사회경제적 우대,출연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제고
등을 그 방안으로 제시했다.
안정적 연구분위기 정착을 위해서는 <>출연기관 기본임무 정립 <>기관의
성격을 감안한 정부지원 가이드라인 설정 <>연구자 신분안정을 위해 현재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재계약제도 대신 50대이후의 연구원에 대한
테뉴어제도입 <>연금제도 도입등을 제안했다.
연구원의 경제.사회적 우대를 위해 <>급여수준을 높이고 급여체계를
현실화하고 <>인센티브체제를 연구및 업무성과에 촛점을 맞춰 개편하고
<>연구소와 대학간에 교환근무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출연기관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일수 있는 방안으로는 <>연구와
사업기능의 이원적 운영 <>경력이 오래된 연구원의 효율적 활용방안
<>연구능력향상프로그램 활성화등을 손꼽았다.
<정건수기자>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12일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