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사 방 법 *****************************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쪽은 럭키금성경제연구소가, 일본쪽은 노무라종합
연구소가 맡았다.

조사대상은 한국과 일본의 비즈니스맨 각각 200명과 285명이었다.

직급별로는 한국의 경우 과장급 71%(142명) 부장급 17%(34명) 임원급 12%
(24명)이었다.

일본쪽은 과장급 28%(80명) 차장급 10.6%(30명) 부장급 38.9%(111명)
취체역 8.1%(23명) 임원급 14.8%(42명)이다.

응답자의 학력분포는 한국이 대학원졸 30.5% 대졸 63.5% 전문대졸 2.5%
고졸 3.5%였고 일본은 대학원졸 5.9% 대졸 87.3% 단기대졸 0.7% 고등전문
학교졸 0.7% 전문학교졸 0.7% 고졸 4.5% 등이었다.

조사방법은 설문지 배포후 직접회수방법(한국)과 우편을 통한 회수방법
(일본)이 이용됐다.

***********************************************************************

95년은 광복 50주년이 되는 해일 뿐 아니라 일본과의 국교가 정상화된지
꼭 3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한국의 급격한 경제성장과정에서 일본의 영향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컸다는 점에는 대부분 공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양국간에는 뿌리깊은 불신감이 남아있어 "가깝고도 먼
나라"라는 인식이 가시질 않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사는 한일국교정상화 30년을 맞아 두 나라 국민간의 인식차를
점검하고 상호신뢰를 쌓기위한 길을 모색한다는 취지에서 럭키금성경제
연구소및 일본 노무라종합연구소와 공동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양국의 비즈니스맨 4백85명을 대상으로 상대방 나라에 대해 느끼는 이미지
를 조사한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양국민들 모두에게 앞으로의 한일관계에
관한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편 집 자 >
***********************************************************************

[[[ 상대국.국민에 대한 이미지 ]]]

이번 설문조사 결과 한국인들은 일본에 대해 여전히 친근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일본에 대해 어느 정도 친근감을 갖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한 결과 "별로 없다"가 43.5%로 가장 많았다.

"거의 없다"는 응답도 13.5%에 달해 절반 이상의 사람이 일본에 대해
호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약간 느낀다"는 사람은 37.5%로 제법 됐으나 "아주 느낀다"는 의견은
5.5%에 불과했다.

이에 반해 일본 직장인들은 절반이상이 한국에 친근감을 느낀다고 응답,
대조를 보였다.

이들은 가장 많은 53.5%가 "약간 느낀다"고 답했고 10.6%는 "아주 많이
느낀다"고 응답, 총 64.1%가 한국에 친근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별로 느끼지 않는다"와 "거의 느끼지 않는다"는 의견은 각각 28.7%와
7.0%였다.

두 나라 직장인에게 "가장 좋아하는 나라와 싫어하는 나라를 꼽으라"는
설문에서는 양국 모두 상대방의 "좋아하는 나라"에 꼽히지 못했다.

한국의 경우 좋아하는 나라는 미국(33.5% 복수응답) 독일 스위스(각각
26.0%) 호주(23.5%) 프랑스(23.0%)등의 순이었다.

일본도 미국이 60.3%로 1위였고 독일(28.4%) 호주(21.7%) 영국(20.7%)
캐나다(17.2%)등의 순이었다.

반면 양국은 "싫어하는 나라" 랭킹에는 모두 끼였다.

한국의 직장인이 가장 싫어하는 나라는 일본이 63.5%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러시아(35.0%)였으며 미국도 33.0%로 3위를 마크, 호.불호가
뚜렷한 나라로 꼽혔다.

일본인이 가장 싫어하는 나라는 러시아(73.0%)였고 그 다음은 이라크
(36.8%)였다.

3위는 북한으로 32.6%였으며 한국이 18.6%로 "싫어하는 나라" 4위에
꼽혔다.

이번에는 양국의 이미지에 대해 물어봤다.

그 결과 한국인들은 일본이 "경제대국"이며 "과학기술이 뛰어난 나라"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경제대국이라는 점에는 1백%가 수긍했으며 과학기술이 뛰어나다는 점에는
85.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일본이 "세계지도국인가"라는 질문에는 34.5%만이 동의했으며
"역사와 전통의 나라" "국민생활이 풍요로운 나라"라는 인식도 각각 32.0%,
28.5%에 불과했다.

다만 "군사대국"이라는 데에는 절반이 넘는 57.8%가 공감, 일본의 핵무장
의혹과 과거 침략행위에 대한 경각심이 아직도 한국인들 사이에 뿌리깊게
자리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반대로 일본인에게 한국의 이미지를 물은 결과 "역사와 전통의 나라"라는
대답이 94.2%로 가장 많았다.

또 "선진국에 접어든 근대국가"라는 인식과 "경제대국이 되어가고 있는
나라"라는 의견도 각각 86.1%와 89.3%에 달했다.

양국민에 대한 이미지조사에서는 한국인의 경우 "일본사람은 근면하고
(72.5%) 예의 바르며(67.0%) 상하관계를 존중한다(60.0%)"는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그 다음은 "애국심이 강하다"(51.5%)와 "착실하고 꼼꼼하다"(47.0%)였다.

이에 비해 일본의 직장인들은 "한국인이 애국심이 강하고(75.7%) 언행이
거칠며(71.7%) 자존심이 높다(65.4%)"고 인식하고 있다.

직선적이라는 응답도 63.7%나 됐다.

"근면하다"는 의견에는 55.6%가 동의를 했고 "권력지향적"이라는 사람도
44.0%에 달했다.

또 "한국사람은 의리가 있다"는 인식은 14.4%에 그쳤고 "협조적"이라거나
"사려깊다"는 응답도 각각 1.0%와 0.7%에 불과했다.

정리하면 양국 모두 상대방 국민들에 대해 그리 후한 점수는 주고 있지
않다는 얘기가 된다.

양국의 주요 인물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한국사람에게
일본의 주요인물들에 대해 아느냐고 물어봤다.

그 결과 한국인은 지문에 열거된 12명의 일본인중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안다는 사람이 95.5%로 가장 많았다.

이웃나라의 인물중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이 침략자라는 것은 그만큼
양국간 역사가 특수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할수 있다.

그 다음으로 안다는 사람이 많은 인물은 다름아닌 탤런트 미야자와리에
(69.0%)였다.

몇년전 누드사진집을 내 국내에까지 화제를 뿌렸던 인물이다.

3위는 일본사무라이의 전설적 인물로 꼽히는 미야모도무사시였다.

그 다음은 일본정계 거물이던 다나카 가쿠에이 전총리(43.5%) 올해
노벨문학상수상작가인 오에 겐자부로(41.0%) 노벨상수상작 "설국"의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39.0%)등의 순이었다.

이에 비해 일본인들이 많이 아는 한국사람은 대개가 정치인이었다.

노태우 전두환전대통령, 김영삼대통령, 김대중씨는 99%이상의 일본사람들이
안다고 답했다.

그 다음은 일본에서의 활약이 많았던 가수 조용필씨(66.3%)였고 군사정권
시절 일본잡지에 글이 자주 실렸던 시인 김지하씨도 63.8%의 인지도를
기록했다.

양국경제에 대한 의식 한국경제가 일본경제와 어느 정도 격차가 있는지에
대해선 한일간에 약간의 차이가 났다.

한국 직장인들 가운데에선 한국과 일본과의 경제격차가 "20년이내"라는
사람이 32.3%로 가장 많았다.

15년 이내라는 의견도 30.7%로 한국인들은 대개 "15~20년이내"의 격차가
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에 반해 일본인들은 "10년이내"라는 응답이 58.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5년이내"로 23.5%였다.

"15년이내"나 "20년이내"는 각각 13.6%와 3.8%에 불과했다.

결국 일본사람들은 한국인들보다 격차를 10년정도 작게 보고있는 양상인데
이는 일본이 "쫓기는 쪽"의 입장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같은 시각은 다음 설문결과에서도 그대로 이어진다.

"한국경제가 일본을 위협할 수 있다고 보는가"라는 물음에 한국사람들은
52.5%가 "장래에 그렇게 될 가능성이 있다", 33.5%가 "그럴 가능성이 낮다"
고 대답, 다소 보수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이에 반해 일본인들은 34.5%가 "가까운 장래에 그렇게 된다", 28.6%가
"이미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혀 절반이상의 일본비즈니스맨들이 한국을
상당히 위협스런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가능성이 낮다"거나 "그렇게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12.0%, 1.7%에
그쳤다.

<<< 계 속 ...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