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부처에서 잉여인력선저어 작업이 본격화되면서 관가의 동요가 심해지고
있다. 저마다 자신이 포함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망연자실한 표정
들이다.

청사주변(음식점)에서 이번 조치를 성토하다 경고를 받는 사례가 생기는가
하면 은연중에 불평이 튀어나올까봐 ''말''자체를 조심하는 분위기다.

악역을 맡게된 차관들 역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해당부처의 직원들을 강제로 퇴역시키는 것이 아니라 81년의 조직축소대
처럼 ''목숨''은 살려두는 형식이라며 ''정리''대신 ''휴유인력''으로 써달라고
주문하기도 한다.

<>.최근 경제기획원과 재무부소속 사무관 3명이 감사관실로부터 사석에서의
조직개편 비판발언과 관련,"경고"조치를 받은 것으로 알려지자 과천공무원
들은 "퇴근후 술자리에서 조차 할 말을 하지못한단 말이냐"며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이들 사무관은 퇴근후 과천 모 음식점에서 저녁을 함께 하면서 조직축소
대상으로 경제부처가 집중된 데 대해 "신세 한탄"을 했다는 것. 경고사유는
"공무원 품위유지위반"이었다고.

과천공무원들은 이에 대해 "도대체 사석에서의 얘기까지 어떻게 감사관실
에 전달되는 지 귀신이 곡할 노릇아니냐"며 "과천일대의 음식점에는 사정
요원이 좍 깔려있다는 소문이 사실인 모양이니 앞으로 당분간은 퇴근뒤
동료들간의 술자리도 먼 곳으로 원정을 가야할 판이 됐다"고 푸념.

< 차병석기자 >

<>.총무처로부터 정리대상자 명단을 작성하라는 통보를 받고 술렁이는
경제부처관료들은 "왜 경제부처만 당해야 하나"면서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불필요한 조직을 끌어안고 있는 비경제부처가 수두룩한데 유독
경제부처만 "도마"위에 올랐다는 것이다.

소위 끗발있는 부처는 남겨뒀다는 푸념이다.

조직개편의 목적으로 규제완화를 내세우면서 규제가 많은 내무부등을
내버려둔 것도 이해할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경제관료들이 제1의 개편대상으로 꼽고 있는 부처는 총무처 보훈처
내무부 외무부등. 총무처의 경우 인사관리는 사실상 청와대와 각
부처가 하고 있고청사관리업무에 고급인력이 배정돼야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보훈처도 업무성격상 보건복지부에 통합해야 마땅하고 지방자치제의
실시로 기능이 줄어든 내무부도 "처"정도로 격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외무부도 냉전시대에 맞추어 실리외교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에서 후속
조직개편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박영균기자 >

<>.조직개편으로 "한솥밥을 먹던 식구"를 최소한 1백명이상씩 줄여야
하는 경제기획원 재무부 상공자원부 관리들은 서로 눈을 마주치지 못할
정도로 삭막한 분위기.

조직개편이나 정리대상자 선정기준등에 관해선 아예 언급을 회피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정리대상자 명단작성의 실무주역인 총무과장은 사무관이나 주사급
직원들의 제1의 회피대상.실제 총무과장으로 부터 "여기 남아서 뒤에
처지는 것보다 다른 부처로 가서 빨리 출세하는게 낫지 않느냐"는 권유를
받았다는 한 직원은 못나가겠다고 말하고 싶었지만 공연히 미움을 살까봐
확답을 할수 없었다고 전언.

더군다나 명단작성의 책임을 지고 있는 차관실에도 결재를 받으러온
직원들이 평소보다 훨씬 줄어든 모습.

< 홍찬선기자 >

<>.인원정리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각 부처에는 외에
해외주재관.파견관들로부터 자신들의 신변에 대한 문의전화가 쇄도하고
있다.

특히 임기가 얼마 남지않은 해외주재요원들의 경우 "본부로 돌아갈
자리는 있느냐" "나도 "결심"을 해야할 대상이라면 미리 알려줘야
정리라도 할 수 있지않겠냐"는 등 인원감축작업에 우려와 함께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

주요경제부처의 경우 저녁늦게 총무과장.인사계장등 담당자들의 집으로
까지 하루평균 6~7통의 해외전화가 걸려와 이들은 종일 "인사 노이로제"
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소연.

< 이동우기자 >

<>.조직개편으로 남게된 중앙처 고급인력에 대한 대기업들의 요청이
시작됐다.

그러나 현재까지 희망자가 거의 없어 공무원의 재계진출이 이뤄질지는
미지수. 삼성 대우 럭키금성등 일부 대기업은 상공자원부총무과에
초임사무관위주로 30여명정도의 인력을 보내줄 것을 요청한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경제기획원총무과나 기획원의 일부 국장들에게도 공식 비공식
경로를 통해 재계로 나올만한 사람을 추천해달라고 주문,기획원에 요청한
인력은 주로 고참사무관이나 초임과장으로 40대초반이 주를 이뤘다고.

재무부에도 기아자동차등에서 인력을 요청하면서 일반사무관은 부장급,
고참사무관이나 과장은 이사급으로 대우한다는 원칙도 제시.

그러나 아직까지 재계진출을 희망하는 공무원은 거의 없는 상황.
상공자원부의 경우 현재까지의 희망자 50여명중 대부분이 국세청
특허청 공정거래위원회등 다른 기관전출을 요망했을뿐 기업을 찍은
사람은 없었다고.

< 안상욱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