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선진국이 겪고 있는 경기침체는 단순한 순환주기라기 보다는 오히려
구조적인 성격이 더 큰데 문제가 있다.

다시말해서 산업의 첨단화와 사회복지분야의 지출확대, 기업간의 경쟁
격화등이 상승작용을 하면서 ''대량실업''을 초래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에따라 각국은 실업문제의 해소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안으로 직업
훈련프로젝트를 선정, 각종 지원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미국이 추진중인 직업훈련의 내용을 알아본다.
< 편 집 자 >
*********************************************************************

직업훈련에 있어서는 미국이 독일이나 일본보다 훨씬 뒤떨어져 있다.

예산면에서 20~25% 수준에 불과하다.

독일이 GNP의 1%를 직업훈련에 투입하는데 비해 미국은 고작 0.2%수준이다.

노동부를 중심으로한 관련부처들은 이러한 차이가 결국은 자국의 산업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판단, 이에대한 여러 대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라이시 노동부장관은 "국경이 없어진 세계경제에서 한 나라가 살아
남기 위해서는 직업훈련과 교육이 필수"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에 덧붙여 그는 정부의 역할을 두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하나는 민간기업이 성장할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일이며, 또 하나는
노동의 질을 높이고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그대로 클린턴행정부에 반영되고 있다.

클린턴행정부는 인력개발정책차원에서 직업교육문제를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국민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의 학제및 교육과목등이 문제로 지적돼 교육
개혁이 검토되고 있기도 하다.

이는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근로자들이 일정한 기술이 없어 직장선택에
애를 먹고 있기 때문이다.

고졸자의 경우 백인도 20%가 실업자이다.

최근 몇년동안은 산학연계프로그램및 도제제도등이 폭넓게 채택되고 있다.

산학협동은 기업이 대학이나 기술계고등학교에 자금을 지원하는 일종의
간접직업교육인 셈이다.

이에 반해 도제제도는 직접적이다.

재학중 관련업체 공장에서 실습을 하며 졸업을 하면 취직까지도 보장해
준다.

이는 현재 메사추세츠 펜실베이니아 메인 캘리포니아주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에서는 고1학년때 전자그래픽디자인등 특정직종을 선택해
교육을 받는다.

메인주의 경우는 고1때 기본교육, 2학년에 소정의 테스트, 3학년때는
학교에서 20주, 업체에서 30주의 견습을 마쳐야만 졸업때 마스터자격증을
얻는다.

이밖에도 내년부터는 숙련기술을 평가하는 국가기능검정제도를 도입하고
영세민과 젊은층을 위한 별도의 직업교육도 다양하게 시행할 계획이다.

<김영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