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그룹들이 민자발전소건설에 적극 참여하려는데는 다양한 포석이
깔려 있다.

그동안 발전설비일원화해제를 강력하게 요구해온 현대 삼성그룹등은 민자
발전소 건설공사를 수주, 해외진출의 발판으로 삼기 위해서다.

이들 그룹의 계열사들은 발전소건설실적이 없어 해외에서 발주되는 대형
발전소건설 입찰자격심사에서 탈락했다.

실적(reference)을 쌓기 위해서라도 민자발전소사업을 반드시 따내야 할
형편이다.

사실 민간기업들이 민자발전소사업에 나서기 위해서는 엔지니어링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외국업체와 손을 잡아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도 민자발전소사업일정에 맞춰 97년 개방하려던 발전업을 1년 앞당겨
96년 1월1일부터 외국업체가 50%이내에서 참여할 수 있는 부분개방키로 한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LNG를 판매하고 계절에 따라 남아도는 LNG를 이용, 복합화력발전소를
짓게다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리는 측면도 있다.

앞으로 수요가 크게 늘어날 LNG의 인수사업도 민영화대상이어서 LNG판매권
을 따내면 효율적으로 발전사업에도 뛰어들 수 있다는 계산인 것 같다.

국내 LNG수요는 올해 5백만t에 불과하지만 오는 2004년이후에는 1천5백만t
을 훨씬 넘어 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민자발전소건설이 효율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출자한도제한을
완화하고 민자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사들인 한전이 구입가격을 올려
줄 수있는 방안이 마련되야 한다고 지적한다.

발전소 1기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수천억원이 소요되는데 정부에서는 출자
한도를 현행 40%에서 25%를 강화할 방침이어서 기업들로서는 자금조달에
그만큼 어렵게 된다는 얘기다.

대림그룹은 LNG인수기지및 복합화력발전소건설에 들어갈 투자액(94년 불변
가격기준) 2조1천억원중 30%인 6천3백여억원은 자기자본과 국내외 공동출자
자가 조달하고 나머지는 차입금으로 충당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정부에서는
기업들의 각종차관도입에 도움을 줄 계획이 구체화된게 없다.

재원을 다양하게 조달할 수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민자발전소 건설한후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야 한다고
업계는 주장하고 있다.

생산된 전기를 한전에 전량 팔아야 하는데 현재와 같은 요금체계로는 적자
를 볼게 뻔하다고 업계는 지적하고 있다.

한전은 수백개의 발전소를 가지고 있어 규모의 경제로 수익을 볼 수 있지만
4개이하의 발전소를 건설한 민간기업이 현재의 전력요금체계로 이익을 낼
수 없다고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