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이 술을 마셨다는 최초의 기록은 "삼국지"의 위서 동이전에 나온다.
3,000여년전 부족국가시대의 부여 고구려 예에서 추수가 끝난뒤 온부족이
모여 하늘에 제사를 지내면서 술을 마시고 춤을 즐겼다는 기록이다.

부여의 해모수가 하백의 딸 유화를 술로 유혹해 결혼을 하고 주몽을
낳았다는 고구려의 주몽신화, 백제의 인번이라는 사람이 응신왕때 일본에 술
빚는 방법을 전해줘 주신이 되었다는 "고사기"의 기록등에서도 그 이후의
흔적을 찾게 된다.

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기까지 빚어진 술의 종류를 알수 있는 기록은
없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야 민속주의 이름이 문학작품에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한림별곡"에는 백자주 송주 예주 죽엽주 이화주 오가피주,
이규보의 시에는 자주 화주 파파주 백주 춘주 천일주 천금주 록파주
동동주, 그밖의 글이나 시에는 녹주 부의주 창포주 유하주 구하주 탁주등이
나온다.

이들 고려의 술은 대부분 조선시대에 전해져 "증보산림경제"등 문헌에
구체적인 제조법까지 기술되어 있다.

한국술의 재료는 원래 누룩과 쌀이다. 누룩의 재료는 밀과 쌀이 주이고
원료곡물은 멥쌀과 찹쌀의 비율이 6대4였다.

순수한 발효주인 백하주 삼해주 춘주 녹파주 벽향주 부의주 일일주 삼일주
칠일주 백일주 잡곡주 이화주 청감주 하향주 하엽주 연엽주 죽통주 송통주
두강주 법주 향온주, 꽃 열매 약재등을 넣어 발효시킨 도화주 지주 포도주
백자주 호도주 와송주 백화주 구기주 오가피주 감국주 창포주 두견주,
순발효주에 약재의 성분을 우려낸 소자주 청약주 복영주 밀주 호골주등
세갈래였다.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술의 재료나 제조방법, 제조기술에 따라 자랑할만한
술의 종류가 셀수없이 많았다.

근래에 들어와 중국의 소주, 일본의 청주, 서양의 맥주와 양주등이 들어
오고 주정이 수입되는가 하면 일제의 주세법 제정으로 술을 빚는데 갖가지
통제가 있게 되자 다채롭던 우리의 술미각은 단순화 내지는 규격화 될수
밖에 없었다. 광복이후에도 만성적인 식량난은 그러한 현상을 더욱 가속화
시켰다.

식량난이 풀린 근년에 들어서야 민속주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까다로운
주세법때문에 애로를 겪어왔다. 정부가 내년부터 마을마다 고장특유의 술을
만들어 팔수 있게 규제를 푼다고 한다. 소주 맥주 양주 막걸리에 갇힌 우리
의 맛을 되찾을 날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