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다소비업종인 시멘트업계는 서서히 밀려오는 그린라운드(GR)태풍
에 벌써부터 초긴장상태다.

지난 3월 발효된 기후변화협약이 필연적으로 이산화탄소(CO2)의 배출규제
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 나름대로 환경관리부서를 설치 운영하거나 에너지
사용을 줄이기위한 시설교체작업에 나서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없어 불안하기만 하다.

기후변화협약에 의한 지구환경보호의 가장 핵심은 대기오염방지. 이
대기오염의 주범을 없애기위해 이산화탄소의 허용배출량을 규제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집약되면서 두가지 규제기준이 논의되고 있다.

하나는 2000년까지 이산화탄소의 총배출수준을 90년의 국제수준으로
동결하자는 선진국의 주장이고 또하나는 배출기준을 90년의 유럽연합(EU)
평균수준으로 동결하자는 후진국과 중진국의 주장이다.

이 두가지의 이산화탄소 절감방안중 어느것이 받아지더라도 국내 시멘트
업계에 큰 부담이 아닐수 없다. 시멘트산업의 에너지 투입비용은 생산재료
비용의 48%에 달하고 인건비등을 포함한 총생산비용의 31%에 이를정도로
시멘트 생산은 에너지다소비업종인 까닭에 규제를 받게되면 엄청난 타격을
입을것이 분명하다.

시멘트업계가 쏟아내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연간 6천5백40만t으로
국내산업 전체의 15.3%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 이산화탄소발생
억제는 그야말로 사활이 걸린 문제다.

쌍용양회및 동양시멘트 현대시멘트등 시멘트제조업체들은 고온인 7백10~
9백도의 석회석 원료분쇄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양을 최대한
줄이기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속적인 시설개체및 공정개선과 저에너지 시멘트의 제조방법개발등을
통해 에너지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특히
제철소의 슬러그 유연탄재등을 일반 시멘트와 섞은 "포졸란"시멘트에
주력하고 있다. 이 시멘트의 에너지사용량은 기존제품의 60%에 불과한
장점을 갖고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시멘트업체로는 처음으로 환경처의 환경모범업체로 선정된
쌍용양회는 올해 대기오염방지에 1백28억원을 투자하는것을 비롯 수질
6억1천6백만원, 소음 5억4천2백만원등 모두 1백39억7천만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또 쌍용양회는 환경관리부서를 각 공장별로 설치 운영,공장 내부를
시민공원에 준하는 수준으로 청결하게 하고 환경규제치보다 훨씬 강화된
기준치를 내부적으로 설정해 이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동양시멘트및 현대시멘트 성신양회 한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등 대부분의
시멘트 업체들도 시멘트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기위해 분진집진기를 추가 설치하고 환경관리시설의 성능을 향상시킬
지속적인 투자에 나선다는 계획을 짜놓고 있다.

시멘트업계는 이같은 대처방안을 추진하면서도 여러가지 문제에 부딪쳐
걱정이 태산같다. 현재 제조과정의 주연료인 석탄과 석유를 액화천연가스
(LNG)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나 산악지역에 위치한 시멘트공장
에 액화천연가스를 보낼 시설이 매우 부족한데다 파이프라인등의 기초시설
을 갖춘다고하더라도 막대한 투자비용부담으로 경쟁력이 크게 낮아진다는
난관에 부딪치고 있다.

뿐만아니라 시멘트업계는 오는 96년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에 가입하게 되면 이산화탄소 발생에 대한 개도국의 유예조항조차 적용
받지 못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선진국들이 시멘트업종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이유로 국내산업 전체에
무역보복을 가해올 가능성마저 배제할수 없기 때문이다.

쌍용양회의 이영조생산운영부장은 "시멘트업체들이 생산과정에서 발생
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줄이면서 부산물인 슬러그의 재활용 방안을
강구중"이라면서도 "국제 수준의 공해관리가 시급히 이뤄지지 않는한
시멘트산업이 국내산업의 골칫덩어리로 부각될것"이라고 말했다.

시멘트업계가 이산화탄소발생량을 줄이지않는한 이 업계의 미래는 물론
다른 산업에 까지 큰 부담을 주는 시기가 도래할 가능성이 큰만큼
산업구조조정차원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이다.

<김영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