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이 중도금 대출 규모를 줄이자 저축은행으로 대출 수요가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이 취급한 주택담보 중도금 대출 규모(비주택 제외)는 6월말 기준 2조190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말(1조9389억원) 대비 11.3% 증가한 수치다. 중도금 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 수는 같은 기간 18개사에서 19개사로 1개사 늘었다. 대출금리는 저축은행 별로 연 5~15% 수준이었다.
저축은행의 중도금 대출 규모가 늘어난 것은 시중은행이 부동산 경기 위축으로 심사 단계에서 높은 분양률(70∼80%)을 요구하면서 분양률이 낮은 사업장이 시중은행에서 중도금 대출을 받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건설사와 시행사는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더라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저축은행에서 중도금 대출을 실행했다는 분석이다.
여신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는 점도 저축은행이 중도금 대출을 적극적으로 취급하는 이유로 꼽힌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7월 저축은행 여신(말잔)은 108조9848억원으로 지난해 말(115조283억원)보다 5.3%(6조435억원) 줄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수도권 아파트 중심으로 중도금대출을 실행하는 시중은행과 달리 오피스텔이나 중소형 사업장을 주로 취급한다"며 "중도금대출은 담보 물건이 있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에 저축은행들이 중도금대출 쪽으로 눈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최근 1년 새 13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예금은행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제외) 잔액은 약 647조8천300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634조4천480억원)과 비교하면 13조3천830억원(2.11%) 늘었다.
같은 기간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이 905조4천840억원에서 894조5천억원으로 10조9천840억원 줄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주담대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역별로 나눠서 보면,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경기도에서만 1년 새 주담대 잔액이 4조4천250억원 증가했다. 전체 증가액의 33%가 경기도에서 늘어난 셈이다.
뒤이어 대구(+2조3천780억원), 인천(+2조2천530억원) 순이었다.
서울의 경우 잔액(207조2천800억원)은 가장 많았지만, 1년 새 7조5천370억원 줄었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경북(8.51%)이 가장 높았으며, 대구(8.31%), 경남(6.72%), 강원(6.49%)이 뒤를 이었다.
지점이 없어 시도별 구분에서 제외한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 증가세도 눈에 띈다.
인터넷은행 주담대는 지난 6월 말 기준 21조160억원으로, 1년 전(13조4천550억원)보다 7조5천600억원(56.19%) 불었다.
문제는 주담대 연체율이 상승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전국 기준 은행 주담대 연체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0.22%로 1년 전(0.10%)보다 0.12%포인트(p) 올랐다.
1년 전의 2배 수준으로 뛰었을 뿐 아니라, 한국은행이 집계를 시작한 2019년 4분기 이후 분기 기준 최고치다.
진 의원은 "각 지역 특성을 고려해 주담대를 관리하는 한편, 연체율 오름세에 대응할 정책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
지점 없는 인터넷은행 주담대도 7.5조원 증가
은행 주담대 연체율 0.22%…1년 전의 2배로 뛰어
정부의 각종 규제 완화 등으로 주택구입자금 수요가 늘어나면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1년 새 13조원 넘게 불었다.
지역별로 보면 주담대 잔액은 경기도에서 가장 많이 늘었으며, 증가율은 경북지역이 가장 높았다.
2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예금은행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제외) 잔액은 약 647조8천300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634조4천480억원)보다 13조3천830억원(2.11%)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은행권 전체 가계대출이 905조4천840억원에서 894조5천억원으로 10조9천840억원 줄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주담대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역별로 나눠서 보면,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경기도에서만 1년 새 주담대 잔액이 4조4천250억원 증가했다.
전체 증가액의 33%가 경기도에서 늘어난 셈이다.
뒤이어 대구(+2조3천780억원), 인천(+2조2천530억원) 순이었다.
서울의 경우 잔액(207조2천800억원)은 가장 많았지만, 1년 새 7조5천370억원 줄었다.
증가율 기준으로는 경북(8.51%)이 가장 높았으며, 대구(8.31%), 경남(6.72%), 강원(6.49%)이 뒤를 이었다.
지점이 없어 시도별 구분에서 제외한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 증가세도 눈에 띈다.
인터넷은행 주담대는 지난 6월 말 기준 21조160억원으로, 1년 전(13조4천550억원)보다 7조5천600억원(56.19%) 불었다.
문제는 주담대 연체율이 상승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전국 기준 은행 주담대 연체율은 지난 6월 말 기준 0.22%로 1년 전(0.10%)보다 0.12%포인트(p) 올랐다.
1년 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