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의 중요성은 더이상 강조할 필요가 없다. 한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느냐 못하느냐가 과학기술의 성공적인 개발과 활용여부에 달려 있다.
다시말해서 국가경쟁력의 장래,21세기의 국가명운이 바로 우리의
과학기술수준에 달려 있다고 봐야한다.

과학기술개발과 연구는 사람이 한다. 결국은 사람의 문제,교육의
문제,두뇌의 경쟁으로 귀착된다. 연구개발(R&D)에 중요한 요소가 많지만
사람과 두뇌가 으뜸이란 얘기도 따라서 하나마나한 소리다.

사람문제,두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도의 하나로 정부는 오래전부터
해외과학자 유치에 노력해왔다. 그 결과 수많은 해외거주 한국계
과학자들이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유치되었다. 대학과 민간기업들은 또
그들 나름대로 필요한 두뇌를 유치했다.

그런데 이들 과학자들 가운데 관변연구소의 경우 이직률이 특히 높다는
사실은 가볍게 볼 문제가 아니다. 무엇이 문제인지,왜 절반 가까이가 대학
혹은 민간연구소로 자리를 옮기는지 원인을 찾아내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국회의 과기처 국정감사과정에서 드러난 내용은 지난85년 이후 올
9월말까지 산하 11개연구소에 유치된 해외과학자 680명가운데 333명이
이직한 것으로 돼있는데 이유는 각양각색이겠으나 그런 높은 이직률이
제기하는 문제는 이만저만 크지 않다.

특정한 분야에서 오랜기간 꾸준히 연구개발활동에 몰두하지 않을 경우
그것은 개인자신이나 국가를 위해 큰 손실이고 때로는 낭비가 될 위험이
크다. 연구의 전문성 계속성이 깨지고 단절과 공백이 생긴다.

비단 과학자들뿐 아니라 산업현장 근로자의 경우에도 높은 이직률이 자주
거론되는게 우리 사회현실이다.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등 5대도시
직장인 6,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는 최근의 한 조사는 생산직 근로자의
25% 사무직의 42%만이 평생일터라는 생각을 갖고 일하며 3명중 1명꼴로
기회가 생기면 다른 직장으로 옮길 생각이라고 밝힌바 있다.

평생직장관은 갈수록 엷어져가고 있다. 그런 의식이 특히 강하기로
정평이 나 있는 이웃 일본에서 마저도 변하고 있다는게 오늘의 추세이다.

그러나 과학자와 연구 두뇌들에게만은 최대한 안정된 연구환경을
보장함으로써 이직률을 줄여야 한다. 그래야 창의적인 연구를 통한
과학기술발전과 혁신을 기대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