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이 7일 밝힌 계열사 정리계획은 철강사업과 직접관련이 없는
부실기업을 처분하고 유사중복업종기업을 통폐합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국민기업"의 이미지와 맞지않는 비관련업종으로의 다각화를 지양하고
필요이상으로 세분화된 계열구조를 단순화,경영의 틀을 쇄신하겠다는게
계열사정리계획의 기본구도인 셈이다.

여기에는 또 쓸데없는(?)가지들을 미리 잘라내거나 하나로 묶어
경제력집중과 관련한 정부규제를 피하고 세무조사로 얼룩진 기업이미지를
개선시키겠다는 의도도 담겨져 있다.

포철관계자들도 "그동안의 계열사확장에는 "자리"마련의 의미도 있었다"고
지적,"이런 식으로 늘어난 계열사를 정리,슬림경영체제를 갖추기위한
것"이라고 계열사정리의 배경을 설명한다.

<>.포철이 풍국정유와 승광을 처분대상으로 분류한 것은 이들회사가
철강사업과 거의 무관한데다 누적적자로 재무구조가 부실,별보탬이
되지않기 때문이다.

풍국정유는 염료중간체인 H산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작년 한햇동안만도
71억7천만원의 적자(매출은 98억원)를 냈다. 승광은 겨우 7억원 매출에
무려 63억6천만원의 결손을 냈다. 승광은 광양인근의 골프장을 관리하는
회사다.

이들 두회사는 또 포철측이 적극적으로 인수에 나서거나 지분참여한
기업이 아니라는 공통점을 갖고있다.
풍국정유는 제철화학인수시(89년8월)대우측의 요청에 따라 어쩔수없이
떠안은 기업이며 승광은 전남도등의 요구로 지분참여(62.3%)했다고 포철은
밝히고 있다.

계열사의 범주에 속하지않으나 PEC(제철엔지니어링)가 25%를
출자,재출자회사로 분류되는 제철세라믹주식을 매각키로한 것도 사업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유사업종 계열사간 통폐합은 자회사및 출자회사의 지나친 세분화를
지양,경영구조를 최대한 슬림화한다는 차원에서 추진되고있다.

도장강판제조 판매를 주업으로하는 포항강재와 도금강판제조 판매회사인
포항도금강판을 하나로 합치겠다는게 좋은 예이다. 사업내용이 유사해
하나로 통합하는 것이 "규모의 경제"라는 측면에서 유리할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경안실업과 포항코일센터의 통합은 경안실업에서 떨어져나간 냉연강판제조
판매를 원위치시킨다는 의미를 갖는다. 경안실업은 강관제조및
강판가공판매회사이며 코일센터는 냉연강판 가공판매회사다. 따라서
코일센터를 경안실업과 통합,냉연강판사업을 강판사업으로 한데 묶어도
별지장이 없다고 포철관계자들은 말한다.

제철화학과 정우석탄화학의 통합은 석탄화학관련사업을 일원화하기위한
것이며 포철특수석판의 본사흡수는 필요이상의 계열사확장을 지양하겠다는
의미. 특수석판은 포철로부터 원료를 공급받아 석도강판을 제조,판매하는
회사이다.

<>.그러나 포철이 이같은 계열사정리계획을 실행에 옮기는데는 적지않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합작파트너들의 반발과 관련업계의
저항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포항강재와 도금강판의 합병은 도금강판의 지분 48.5%를
소유하고있는 동국제강과 포항강재의 주식 48%를 갖고있는 삼성전기의
동의가 있어야한다. 포철측지분은 포항강재가 49%,도금강판이 48.3%이다.

경안실업과 코일센터의 통합도 코일센터의 지분을 갖고있는
삼성물산(19%)대우전자(18%)럭키금성상사(13%)등과의 합의가 전제돼야한다.
경안실업은 포철측이 1백% 소유하고있어 별문제가 없으나 코일센터에 대한
포철측지분은 35%에 불과하다.

포철특수석판을 본사로 흡수시키는것은 동양석판등 관계업계의 반발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포철이 석도강판제조 판매사업을 직영하게되면
가격경쟁력에서 다른 업체들을 훨씬 앞설게 분명하기 때문이다.

또 제철화학과 정우석탄화학의 통합은 정우석탄화학이 법정관리를
받고있어 당장은 불가능하다. 포철관계자도 이들 두회사의 통합은
정우석탄화학이 법정관리를 벗어나 어느정도의 수익기반을 다진 뒤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철은 이런 점들을 고려,세부시행계획은 관계부처및 관련회사와의
충분한 협의를 거쳐 마련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있다.

정리대상기업의 합작파트너들과 만나 통합방법과 통합에 따르는 문제점
해소방안을 협의하고 상공자원부등 관계부처와도 의견을 교환,관련업계에
충격을 주지않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이와관련,포철의 한 관계자는 계열사정리계획은 상공자원부와
실무선에서의 협의를 거친 것으로 임원회의에 보고돼 승인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희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