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농기계 반값 공급정책이 2백만원 미만의 값싼 소형 농기계에만
적용돼 농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
다.
선거때 민자당 공약으로 발표돼 최근 농림수산부가 마련한 농기계 반값
공급계획 시행지침은 2백만원 미만의 농기계에 한해 50%까지 구입비를 보
조하고 2백만원을 초과하는 농기계는 최고 1백만원까지만 보조하는 것으
로 돼 있다.
이에 따라 애초 선거공약대로 반값에 공급되는 농기계는 경운기, 이앙
기, 바인더, 양수기, 방제기, 관리기 등 일부 소형 농기계에 불과할 뿐
트랙터, 콤바인, 곡물건조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농용트랙터용 플라우,
과일선별기, 채소이식기 등 대형.특수농기계 구입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
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농업정책이 3 이상의 대규모 영농을 유도하고 있고 농업
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계화 영농이 불가피하며, 실제로 농가가
구입을 원하는 농기계도 이들 대형.특수농기계들이다. 그러나 정부정책
은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말 현재 도내 19만2천여 농가가 보유하고 있는 농
기계는 44만3천여대로 가구당 2~3대에 이르고 있으며 이 가운데 경운기가
23%(10만2천여대), 방제기 17%, 양수기 11%, 이앙기 8% 등으로 이미 소형
농기계는 많이 공급돼 있는 형편이다.
반면 2백만원 이상인 트랙터와 콤바인은 각각 3%, 건조기는 2% 등으로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경기도는 올해 농기계 반값 공급 보조금으로 1백71억9천만원
을 확보해 경운기 3천7백21대, 이앙기 3천2백91대, 관리기 3천79대, 트랙
터 1천8백31대, 콤바인 1천5백70대, 건조기 5백14대, 기타 4천1백70대 등
모두 1만8천1백76대를 공급할 계획이나 그 성과가 의문시되고 있다.
정부의 이런 방침이 알려지자 일부 농가에서는 이미 갖고 있는 소형 농
기계를 새로 교체하는 과소비 풍조가 일고 있는가 하면, 대형 농기계도
반값으로 공급될 것으로 알고 그동안 구입을 미뤄왔던 농가들은 정부정책
에 강한 불신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정책은 재정형편을 감안해 농기계값에 따라 일정 비율을
정해 골고루 보조해주거나 소형보다는 값비싼 대형.특수 농기계 구입을
집중 지원해주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적용돼 농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
다.
선거때 민자당 공약으로 발표돼 최근 농림수산부가 마련한 농기계 반값
공급계획 시행지침은 2백만원 미만의 농기계에 한해 50%까지 구입비를 보
조하고 2백만원을 초과하는 농기계는 최고 1백만원까지만 보조하는 것으
로 돼 있다.
이에 따라 애초 선거공약대로 반값에 공급되는 농기계는 경운기, 이앙
기, 바인더, 양수기, 방제기, 관리기 등 일부 소형 농기계에 불과할 뿐
트랙터, 콤바인, 곡물건조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농용트랙터용 플라우,
과일선별기, 채소이식기 등 대형.특수농기계 구입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
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농업정책이 3 이상의 대규모 영농을 유도하고 있고 농업
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계화 영농이 불가피하며, 실제로 농가가
구입을 원하는 농기계도 이들 대형.특수농기계들이다. 그러나 정부정책
은 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말 현재 도내 19만2천여 농가가 보유하고 있는 농
기계는 44만3천여대로 가구당 2~3대에 이르고 있으며 이 가운데 경운기가
23%(10만2천여대), 방제기 17%, 양수기 11%, 이앙기 8% 등으로 이미 소형
농기계는 많이 공급돼 있는 형편이다.
반면 2백만원 이상인 트랙터와 콤바인은 각각 3%, 건조기는 2% 등으로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경기도는 올해 농기계 반값 공급 보조금으로 1백71억9천만원
을 확보해 경운기 3천7백21대, 이앙기 3천2백91대, 관리기 3천79대, 트랙
터 1천8백31대, 콤바인 1천5백70대, 건조기 5백14대, 기타 4천1백70대 등
모두 1만8천1백76대를 공급할 계획이나 그 성과가 의문시되고 있다.
정부의 이런 방침이 알려지자 일부 농가에서는 이미 갖고 있는 소형 농
기계를 새로 교체하는 과소비 풍조가 일고 있는가 하면, 대형 농기계도
반값으로 공급될 것으로 알고 그동안 구입을 미뤄왔던 농가들은 정부정책
에 강한 불신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정책은 재정형편을 감안해 농기계값에 따라 일정 비율을
정해 골고루 보조해주거나 소형보다는 값비싼 대형.특수 농기계 구입을
집중 지원해주는 방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