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을 시샘하는 꽃샘 추위가 기승을 부리자 시장을 찾는 주부들의 발길이
크게 줄어들면서 매기가 한산한 가운데 대부분의 농수산물 값이 보합내지
하향세로 돌아섰다.

특히 시설재배품의 본격 출하가 시작되면서 출하지역이 확대되고있는
배추가 속락 현상을 나타내고있다.

또한 노지재배품이 첫선을 보이고있는 알타리무도 물량 증가로 하락세를
보이고있다.

수산물도 일기불순으로 어획량이 줄어들고있으나 매기가 부진해 대부분의
어종이 약세를 보였으나 갈치등 일부 품목은 오름세를 나타내고있다.

<> 가락동농수산물시장

햇배추의 출하지역이 제주 김해 하동 의령 진주 나주 부여등으로
확대되면서 하루 반입량이 1천2백여t에 달하자 상품이 포기당 1천5백원으로
지난주보다 3백원 떨어졌고 묵은 배추도 2백원 내려 2천5백원에
팔리고있다.

감자도 햇품 출하가 늘어나면서 상품이 4백g당 1백원 내린 3백원에
거래되고있고 부추와 아욱도 3백g당 2백원과 50원이 각각내려 6백원과
4백원에 팔리고있다.

노지 재배품이 출하되고있는 알타리무는 주초보다 한단에 2백원 떨어져
1천8백원에 열무는 한단에 5백원, 햇무는 개당 9백원에 거래되고있다.

상추(적엽)와 오이(취청)도 4백g과 개당 상품이 3백원과 50원 내린
1천원과 2백원에 거래되고있고 가지도 상품이 개당 3백원 하락한 5백원을
형성하고있다.

미나리와 피망도 상품이 4백g당 3백원과 5백원 떨어져 5백원과
1천5백원에,마늘은 kg당 5백원 내려 2천5백원에 거래되고있다.

지난주 크게 뛰었던 버섯류는 고가에따른 수요감소로 양송이버섯과
생표고버섯이 kg과 4백g당 5백원씩 반락해 3천5백원씩에,팽이버섯은 1백g당
2백원 내려 8백원에,느타리버섯은 4백g당 2천원의 약세를 나타내고있다.

과일류는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하고있는 가운데 물량이 줄어든
바나나가 당 3백원이 올라 2천원을 형성하고있는 반면 반입량이
증가하고있는 수박이개당(7kg)5천원 떨어져 2만원에 팔리고있다.

<> 노량진수산시장

폭풍주의보 발효등 어장의 일기불순으로 어로작업이 부진,어획량이
줄어들었으나 소비 역시 둔화돼 횟감용 활어가 반락세를 형성하고있다.

이에따라 자연산 광어와 양식 상품이 kg당 1만원씩 떨어져 4만원과
2만5천원에 팔리고있으며 노다리도 kg당 8천원 내린 2만7천원에,우럭은
자연산이 kg당 7천원 내린 2만3천원에 각각 판매되고 있다.

농어 역시 자연산과 양식이 kg당 5천원과 7천원이 떨어진 3만원과 2만원의
낮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꽃게 역시 목포 여수등 출하지역 확대로 반입물량이 늘어나 kg당 2천원
떨어져 1만3천원에 팔리고있다.

그러나 대중 선어류에서는 물량이 줄어든 갈치가 육질이 좋은 대품이
출하되면서 마리당 2천원 뛰어 2만원까지 거래되고있고 삼치도 마리당
5백원이 올라 상품이 3천5백원에 팔리고있다.

<조재현기자>

<> 부산부전시장

대부분의 채소류가 지난주에 이어 보합세를 유지,배추가 포기당(2.5kg)
1천5백원,무 개당(1.5kg) 4백50원,양배추 한통(2kg)에 1천2백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금치는 kg당 1천5백원, 상치(적엽)는 kg당 2천5백원, 쑥갓은 kg당
1천2백원, 감자와 고구마가 kg당 각각 9백원 1천4백원에 판매되고 있다.

산지반입물량증가로 오이가 1개에 3백원,풋고추가 kg당 4천5백원으로
지난주보다 1백50원과 5백원 내렸다.

깐마늘은 kg당 3천원,생강은 4백g에 2천원,참깨 한되에 1만2천원선을
형성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거의 찾지 않고있는 사과의경우 개당 50원이 또 내려
4백원에,귤은 산지반입물량 감소로 개당 1백20원의 강세를 형성.

어획량이 늘어난 고등어 한마리(30cm)에 3백원 내린 1천2백원,황태10마리에
2만원,갈치 한마리(70cm)에 5천2백원에 팔리고 있다.

굴은 4백g당 2천5백원,조개(바지락)는 kg당 2천원,김은 속(1백장)당
4천4백원.

<부산=김문권기자>

<> 대구칠성시장

본격적인 출하기를 맞은 봄나물과 시설재배과일들이 속락세를 보이고있다.

냉이가 4백g당 1천원,상추는 2백원내린 1천원,적양배추도 5백원 내려
한통당 1천5백원에 팔리고있다.

그러나 배는 계속 오름세를 보여 개당 3천원의 높은 시세를 형성하고있다.

수입과일류도 다소 올라 바나나가 kg당 2백원 오른 1천7백원,머스크멜론은
5백원 오른 5천5백원에 팔리고있다.

생선류는 전반적인 내림세를 보였는데 포항지역 대게수확량의 증가로
홍게가 마리당 1천원선에 거래되고있다.

<대구=신경원기자>

<> 광주대인시장

출하가 크게 증가한 채소류와 과일류의 가격이 다소 하락한 반면 양념류와
봄나물은 보합세를 보였다.

배추는 한묶음에 5천원으로 지난주보다 5백원 내렸고 애호박은 2백원
떨어진 개당 1천원에 거래되고있다.

무는 개당 1천원,소비가 증가한 열무는 한단에 2천5백원.

냉이와 시금치는 한단에 4천원씩에 팔리고있다.

상추는 한근(4백g)에 4백50원으로 지난주보다 2백원 떨어졌고 달래는
kg당 3천원에 거래되고있다.

나물류는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유지해 취나물이 kg당 4천원,미나리는
한단에 7백원,깻잎은 한묶음에 1백50원,반입이 크게 증가한 딸기는 kg당
4천원으로 5백원 하락했고 참외도 개당 5백원이 떨어진 2천원에 팔리고
있다.

수산물은 삼치가 마리당 5백원 오른 2천5백원,생태는 마리당 1천원,바지락
고막 굴은 kg당 각각 2천5백원 3천원 5천원에,병어는 마리당
6천5백원,갈치는 크기에 따라 5천원에서 1만원까지 거래되고 있다.

고등어와 꽁치는 3마리와 6마리에 각각 2천원씩에 판매되고 있다.

<광주=최수용기자>

<> 대전오정동시장

봄철 입맛을 돋구는 나물류의 반입이 늘고있는 가운데 비름이 한단에
4백80원,취나물은 4백g에 7백50원, 두릅은 4백g에 2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배추는 한포기에 1천원,무는 한개에 3백원,열무는 한단에 7백원,상추는
4백g에 3백70원,사과는 한개에 4백50원,배는 한개에 1천6백원에
팔리고있다.

수산물은 생태가 한마리에 6백50원,갈치는 5천5백원,대구가 에
1천7백원,바지락은 1천6백원으로 약보합세.

활어류의 경우는 광어가 당 2만원,낙지는 한마리에 4천5백원,우럭은 kg당
1만9천원,붕장어는 당 9천원에 팔리고있다.

<대전=이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