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주외무부장관은 9일"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가 6월12일 정식
으로 효력을 발생하는 만큼 5월말이되면 국제적인 대북압력도 높아지고 제
재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북한이 강요에 의해 양보하는 상황까
지 가기전에 합리적인 타협이 모색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장관은 이날 오전 서울프레스센터에서 한국신문편집인협회가 마련한 "금
요조찬대화"에 초청연사로 참석,질의응답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일부에서
는 북핵문제에 대해 정부가 너무 유화적대응을 보이고 있다는 비판적시각
도 있으나 실제로는 우리의 대응이 더욱 강도높은 국제사회의 반응을 유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장관은"북한의 핵문제가 유엔안보리로 넘어감에 따라 중국의 대북영향력
도 그만큼 커진셈"이라고 전제,"중국의 입장을 살려가면서 대북태도를 변화
시키도록 직접 설득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대북핵 의혹해소 방법과 관련,한장관은 "현단계에서는 국제원자력기구(IA
EA)의 특별사찰이 가장 중요하나 남북상호사찰에 의한 이중 보장장치를 포
기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장관은 대북경제제재 효과를 높이기위한 해안봉쇄등 군사제재조치 가능
성에 대해 "필요할 경우 협의가 있을수 있으나 현재까지는 아무런 논의가
없었다"고 밝혔다.
한장관은 미.북한접촉에 대해 "핵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하다면 미.북한간
접촉을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밝히고 "미국은 현재 참사관급에서 대북접촉
을 북경에서 갖고 있으나 접촉수준의 격상은 북한의 NPT탈퇴에 대한 보상이
된다고 판단,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